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7

곤충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어떻게 피해 살아가는지 궁금합니다.

초음파를 내는 박쥐는 주로 곤충도 잡아먹고 사는데요. 풍뎅이나 하늘소같은 곤충들이 박쥐의 초음파를 피해 생존을 한다고 하던데요. 어떤 과학적 이유로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경태 전문가blue-check
    김경태 전문가24.01.07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탐지하고 먹이인 곤충을 찾아냅니다. 박쥐는 고주파수의 초음파를 내보내고, 이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히고 반사되면 박쥐가 이를 듣고 인지합니다. 곤충의 날개나 다리 등은 초음파에 의해 반사되는 특성이 있어, 박쥐의 초음파를 피해 다가오는 박쥐를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박쥐-곤충 코에변형"이라고도 불리는 현상으로, 곤충들이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하지 못하고 피해 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곤충이 초음파를 감지하기 위한 생리적, 해부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곤충의 체내에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부족하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박쥐의 초음파를 피해 다니는 것으로 생존 전략을 채택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사냥을 할 때 초음파를 사용하는데요, 이를 '에코로케이션'이라고 합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내보내어 그것이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소리를 듣고, 그것으로 물체의 위치와 거리를 파악합니다. 이 방식을 통해 박쥐는 어두운 밤에도 먹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박쥐의 주요 먹이인 풍뎅이나 하늘소와 같은 곤충들은 이 박쥐의 초음파를 피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청각기관을 통해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하고, 그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풍뎅이나 하늘소는 박쥐의 초음파를 듣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하면 급격히 날개짓을 멈추고 떨어지거나, 방향을 바꿔서 도망치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들 곤충은 박쥐의 공격을 피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는 코에서 초음파를 발사하고 곤충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피하기 위해서 감지하고

    회피하는 동작을 취합니다.

    급격한 방향 전환이나 급강하를 통해서 박쥐의 공격을 피합니다.

    풍뎅이는 스스로 초음파를 발사해서 박쥐의 초음파를 방해합니다.

    풍뎅이는 초음파를 반사하지 않는 비늘로 몸을 감싸고 있어서 박쥐의 초음파를

    흡수하거나 흩어지게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가 초음파를 내는 이유는 주로 먹이를 찾기 위해서입니다. 박쥐는 초음파를 내고 그 반사파를 받아들여서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먹이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곤충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피해 살아가는지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이는 곤충들이 초음파를 감지하고 이를 피하기 위한 방어 기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곤충들은 초음파를 감지하면 그에 대응하여 자신의 날개를 진동시켜서 초음파를 반사하거나 또는 그 반사파를 이용하여 박쥐의 위치를 파악하여 피하게 됩니다.

    이러한 곤충들의 방어 기제는 진화 과정에서 발전한 것으로 초음파를 감지하고 이를 피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발전하게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곤충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하고 이를 피하는 것 외에도 다른 방법으로 생존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박쥐가 초음파를 내는 동안에는 날개를 접어서 떨어지는 것이나 또는 박쥐가 다른 먹이를 찾아 다른 곳으로 떠날 때까지 숨어있는 것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곤충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피하고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생존하는 능력을 발전시켜왔습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다시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귀뚜라미나 나방 등등 다양한 곤충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회피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데, 광범위한 초음파 주파수에대한 감지능력이 있어 해당 음파를 감지하면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귀뚜라미의 경우 초음파에 의한 날개의 떨림을 통해 감지가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곤충들은 초음파를 들을 수 없기에 피해가 없습니다. 초음파는 박쥐, 돌고래 등에서 의사소통 및 방향/지형지물을 파악하기 위해서 내는 소리 입니다. 박쥐의 초음파를 돌고래가 들을 구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박쥐의 초음파를 피하기 위해서 곤충들도 진화를 거듭합니다 어떤 곤충은 초음파흡수물질을 어떤 곤충은 초음파를 뜅겨내기도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