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에서 거래정지하는 이유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국내증시를 보면 갑자기 어느순간 거래정지를 하는경우도 있더라구요.
어떤 이유로 하는건가요? 서킷브레이커 이렇게 증시 전체가 멈추는것을 제외하구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VI가 걸리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오늘처럼 전산 장애로 정지가 된 것은 초유의 사태입니다
VI가 걸리는 케이스는 개별 기업의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나타납니다.
이 때 한 주식의 시초가를 기준으로 VI가 결정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 종목의 거래 정지 사유는 다양한데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 횡령, 배임이
발생하면 거래 정지가 됩니다. 또는 4년 연속 영업손실이 발생한다든가 기업의 자본잠식률이 50%를 넘어가는 경우, 감사의견에 거절을 받는 경우 거래 정지가 될수 있습니다. 항편 기업이 합병, 분할, 회생 절차 등으로 구조적 변경이 있을때도 거래 정지가 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가 단기과열으로 주의종목이 되고나서 다시금 과열되어 관리종목이 되어 다시금 과열급등이나오면 하루거래정지사유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재무관련하여 감사의견거절이나 자본잠식 정기보고서 미제출 그리고 시가총액미달 사유가 날경우 거래중지 사유가 발생하여 해소가 해결될때까지 심사를 하며 거래중지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증시에서 거래를 정지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부분 공공의 이익과 투자자 보호 및 시장 관리를 하기 위해서
주식의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는데
일반적으로 관리 종목에 들어간 종목들이 이런 거래 정지를 당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서킷브레이커는 단계별로 조건이 다른데요.
1단계 서킷브레이커
주가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할 경우 발동됩 니다.이 단계에서 거래는 20분 동안 중단됩니다.
거래 재개 후에도 주가가 계속 하락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2단계 서킷브레이커
주가가 전일 종가 대비 15% 이상 하락할 경우 발동됩 니다.이 단계에서는 거래가 20분 동안 다시 중단됩니다.거래 재개 후에도 주가가 하락을 멈추지 않으면 최종 단계로 넘어갑니다.
3단계 서킷브레이커
주가가 전일 종가 대비 20% 이상 하락할 경우 발동됩 니다.이 단계에서는 당일 거래가 완전히 중단됩니다.다음 거래일에 시장이 다시 열리며, 이 때 시장의 상황 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