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조선조 임금의 명칭에 '종' 과 '조'의 차이점?

조선조 임금의 명칭에 종 과 조 의 차이가

무엇 인지요?

워낙 붙인 이유에 대해 여러가지 말들이 있어

매우 궁금 합니다.

정확한 이유를 문헌적으로 기록된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와 종의 차이는 <태조실록>에 <유공왈조(有功曰祖) 유덕왈종(有德曰宗)이며 조공종덕(祖功宗德)이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쉽게 말해 '공이 있으면 조로 하고, 덕이 있으면 종으로 한다'라고 하는 것인데 이를 종법질서라고 합니다.

    근데 나름의 종법질서가 있는 것은 알겠지만 사실 공과 덕을 딱 잘라 말하기 힘들기 때문에 기준으로는 애매합니다.

    고려시대에는 태조 왕건만이 조를 썼습니다.

    조선 역시 이성계는 창업군주여서 태조라고 썼습니다. 그러나 조선의 왕 6명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가 '조'를 쓰게 된 것은 이들이 다른 왕들보다 공이 있어서도 창업군주여서도 아닙니다.


    왕들의 묘호가 사후 후대에 의해 올라가는 것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즉 후대에서 정하는 것이기에 자신의 왕권강화와 정당성 확보를 위해서 선왕의 묘호를 지을때도 고심을 했습니다. 이는 후대로 갈수록 덕이 많은 왕에게 붙는 '종'보다 공이 많은 왕에게 붙는 '조'를 더 높고 중요시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어 실제로 23대왕 순종은 본래 종이었다가 철종에 이르러 순조로 바뀌었고, 영종은 고종에 이르러 영조가 되고 정조 역시 정종이라 불리다가 정조로 바뀌게 되었다 합니다.


    이는 왕권강화와 자신의 정통성 확보를 위해 묘호를 바꾼 사례로 종법질서가 있었다고 하나 결국 후대의 이해관계에 의해 바뀌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조"는 공이 있는 임금에게, "~종"은 덕이 있는 임금에게 붙였으며, 예를 들어 세종대왕의 경우 한글(훈민정음) 창제를 통해 백성들에게 덕을 베풀었기에 세종이 된 것이며, 선조의 경우 원래 선종이었지만 임진왜란으로부터 나라를 구한 공이 인정되어 선조가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