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8.29

을미사변 당시, 우리나라의 왕후인 명성황후를 시해하기도 했는데요 왜 어떠한 이유로 명성황후를 시해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일제 강정기 시대 때 일본은 우리나라를 수탈하고 많이 괴롭혔는데요

을미사변 당시, 우리나라의 왕후인 명성황후를 시해하기도 했는데요

왜 어떠한 이유로 명성황후를 시해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을미사변 당시 일본이 명성황후를 시해한 가장 큰 이유는 조선의 러시아 의존도를 약화시키기 위해서였습니다. 1894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의 외교권을 장악하고, 청나라의 영향력을 축소시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명성황후는 러시아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저지했습니다.

    명성황후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통해 조선의 자주권을 지키고, 근대화를 추진하고자 했습니다. 그녀는 러시아의 도움을 받아 갑오개혁을 단행하고, 조선의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이러한 명성황후의 행보는 일본의 견제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일본은 명성황후를 제거함으로써 조선의 러시아 의존도를 약화시키고, 조선을 완전히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두려 했습니다. 1895년 10월 8일, 일본은 낭인과 일본군을 동원하여 경복궁을 습격하고 명성황후를 시해했습니다.

    을미사변은 조선의 근대화와 독립을 위한 노력에 큰 차질을 초래했습니다. 또한, 한국인들에게 일본에 대한 깊은 증오심을 심어주었습니다.

    을미사변의 구체적인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명성황후의 친러시아 정책

    • 명성황후의 갑오개혁 추진

    • 일본의 조선 침략 확대

    명성황후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통해 조선의 자주권을 지키고, 근대화를 추진하고자 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4년 청일전쟁을 일으키며 경복궁을 점령한 일본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폐기하고 조선 정부에 친일 내각을 구성, 전쟁에서 북양군을 와해시킨 후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해 조선의 자주, 독립 및 요동반도와 타이완 섬 할양, 전쟁배상금을 받아내자 러시아는 독일, 프랑스를 끌어들여 일본에게 요동 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할 것을 요구, 3개 열강의 압박으로 일본은 요동반도를 반환합니다.

    그동안 러시아와 우호적인 외교를 해왔던 고종과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견제할수있을 것으로 생각해 러시아 공사 카를 베베르를 자주 불러 조-러간의 공조를 논의, 인아거일 노선을 적극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친일 내각에 대한 축출을 단행, 일본 공사관 및 일본인 고문단의 지지를 받던 어윤중, 김윤식 등 친일 성향의 관료들이 고종과의 마찰, 박영효가 주도한 조의연 파면 등에 책임을 물어 축출되고 이완용을 중심으로 한 친러 성향의 관료들이 중용됩니다.

    그러자 친일 대신이었던 박영효는 명성황후가 자신의 숙청을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를 얻고 명성황후의 암살을 모의하지만 이후 을미사변에 가담하는 유길준의 내부 고발로 실패, 일본으로 도주합니다. 박영효가 명성황후 암살미수 사건 혐의로 수배되며 친일관료들이 중앙에서 쫓겨나게 되고 일본의 입지가 줄어들게 됩니다.

    망명한 박영효의 말에 따라 일본은 조-러 간의 비밀협약의혹을 신빙성있게 여기고, 일본의 향후 외교방침 전환을 위해 이토 내각과 정계, 육해군부 내에서 갑론을박이 오가는데 이때 유신지사이자 당시 조선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오랜 정적이었던 다니 다테키의 추천을 받아 새로 조선공사로 부임한 퇴역 육군 중장 미우라 고로가 주-일 외교전면에 등장, 배후로 추정되는 일본 당국 관계자들은 미우라로 하여금 명성황후를 시해함으로써 국면을 전환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