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키가큰올빼미231
키가큰올빼미23122.11.30

비행기가 지나간 뒤에는 구름처럼 왜 생기나요?

비행기가 지나가고 난 뒤에는 꼭 구름 철길처럼

길게 비행기가 지나간 흔적을 남겨 놓는데

그 흔적들은 구름인가요 아니면 어떤 현상 때문에

그러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30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남긴 구름 길을 비행운(Contrail) 이라고 합니다. 비행운이 생기는 원리는 구름이 생기는 원리와 비슷합니다. 항공기 엔진에서 나온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와 매연 입자들이 높은 고도의 찬공기와 만나서 액체로 응결하고 얼어서 생기는 것입니다. 비행운은 하늘의 기온이 낮고 습도가 높은 날에 잘 발생하고 하늘에 오래 남아 있습니다. 비행운은 고도 8000미터 이상에서 기온이 영하 38도씨 이하가 되어야 발생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구름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비행운은 비행기 엔진의 높은 온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공의 차가운 공기를 만나며 즉시 물이 되고 바로 얼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배기가스는 약 600도 정도이고, 비행기 궤도의 대기 온도는 영하 40도 정도로 매우 차이가 큰 것도 이유입니다.


  • 비행기 주변이 뿌옇게 변하면서 구름처럼 생기는 것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것이 생기는 이유는 배기가스와 하늘의 온도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에 입김을 불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입안의 온도와 바깥의 온도의 차이 때문인데,

    하늘의 온도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구름운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운은 하늘에 차가운 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만들어 집니다.

    일반 여객기에도 비행기 엔진이 있기 때문에 비행운이 만들어집니다.

    찬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비행기 엔진의 뜨거운 열기와 마주합니다. 그리고 엔진을 통과하며 찬공기의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이 배출되면서 구름과 같이 만들어 지는데 이를 비행운이라고합니다.

    또한 비행운은 습도가 높은 날에 잘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가면서 엔진에서 나온 뜨거운 배기가스와 찬 공기가 만나게 됩니다.
    이 때 미세 탄소 입자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비행운이 생성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건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건 아니고요. 보통 비행기가 나는 상공의 온도는 낮은 편입니다. 이에 엔진에서 뜨거운 배기가스가 나오면 공기중에서 급격히 냉각되어 인공적인 응결이 생겨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