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옹주라는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부터 사용되었으며, 왕의 후궁을 칭하기도 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왕의 딸을 궁주라 하였고, 왕자의 정실부인, 그리고 왕족(종친)들의 정실부인과 그 딸까지도 옹주라 하였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고려의 제도를 계승해 대군의 부인, 왕의 후궁, 왕의 서녀, 개국공신의 어머니와 처, 왕세자빈의 어머니, 종친 딸 등
높은 신분의 여인들을 옹주라고 칭하였으나 조선중기로 넘어가서는 내명부 품계를 정리하여서 왕의 서녀만 옹주라고 칭하게 됩니다.
옹주는 공주와 똑같은 무품계이지만 실제적으로는 한 등급 낮은 대우를 받았습니다.
후궁인 어머니의 신분이 왕비와 차이가 나다 보니 여러 가지 면에서 차별이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어머니의 신분이 양반인지 평민인지 천인 출신 궁녀인지에 따라서도 대우가 달라졌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왕의 딸이라는 고귀한 혈통과 지위를 가지고 사회적/경제적으로 등 많은 혜택과 특권을 누렸으며, 공주와 마찬가지로 왕실 가족으로서 권리를 가졌습니다.
조선시대 양반가의 서녀들이 시집가는 집안보다 훨씬 더 떨어지는 집안으로 시집가거나 비슷한 집안의 서자에게 시집가거나 또는 첩으로 들어가는 것과는 다르게 옹주도 공주와 별반 다른 것 없는 명문가 집안의 자제와 결혼을 하였으며 시부모나 남편이 옹주에게 반말하거나 무시할 수 없는 존재였다. 서녀라고 하더라도 왕의 자식으로서 당시 조선시대에서는 굉장히 고귀한 존재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