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거대한갈매기135
거대한갈매기13524.03.04

조선왕중 선조와 인조는 어떻게 왕이 됐는지 궁금합니다?

임진왜란 시기때 영화를 보면 선조와 인조가 나오면 안좋게 표현을 많이 하는데 둘다 왕이 될때 정통으로 왕이 안된건가요? 아니면 무능해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제14대 왕 선조는 조선시대 왕 중 고종과 함께 무능한 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선조는 중종의 서자였던 덕흥군의 셋째 아들이었으니 아마도 태어나는 순간에는 왕이 되리라고는 누구도 생각치 못했을 것입니다. 그가 왕위에 있을 때 정여립 사건과 임진왜란이 발발하였고 이후 조선 사회는 무너져 내렸습니다. 제16대 왕 인조는 광해군의 중립정책을 지양하고 반금친명을 써서 병자호란의 원인을 제공하였습니다. 광해군과 북인들의 극단적인 정치에 반발하여 1623년 서인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조는 임진왜란때 수도 버리고 딴나라로 도망가려 한 것과

    이순신장군님 투옥한 것 때문에 욕을 먹는 거지

    정통성 부분은 전혀 문제 없구요.

    사실 저거 두개 모두 각각 근거가 있어서 한 행동이라서

    (수도 버리기=왕이 잡히면 끝이며, 명나라 지원군을 부르려 한 것임

    이순신 백의종군=애초에 조선이 군사 쿠데타로 세워진 나라였으니

    강력한 군사적 카리스마 견제는 당연한 조치)

    진지하게 역사 연구하는 사람들은 딱히 욕하진 않습니다

    인조는 임진왜란이랑 상관 없습니다. 병자호란과 상관있죠

    그는 반정으로 왕위에 올랐고, 그래서 초반에는 불안 했지만 뭐, 나쁘지 않은 왕이었습니다

    다만, 내정은 몰라도 군사쪽은 잘 모르는 왕이었는데 하필 이시대에 청나라의 침공이 있었죠.

    인조반정 명분이 광해군이 전통있는 명나라 버리고 청나라(당시 후금) 따르려 한단 것이었는데

    정작 인조는 결국 청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강화를 맺었기 때문에 그럴거면 뭐하러 반란함? 이란 말이 나오는 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