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한가한테리어281
한가한테리어28123.01.28

저율과세와비과세차이점이무엇인지요?

은행예금이나 적금을들때 저율과세와 비과세 일반과세 이리세가지가있는거같은데 일반과세는 잘알겟지만

저율과세 비과세 차이점이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세금혜택을 보는 상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저율과세라는 것은 말 그대로 세금을 적게내는 것을 의미하며, 비과세라는 것은 세금이 아예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저율과세는 신협이나, 새마을금고과 같은 상호금융에서 조합원 가입 후 3천만원까지 저율과세가 적용받는 것을 말하는데 이 때 저율과세는 일반적으로 이자소득에 대해서 [이자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를 공제하지 않고 [농특세 1.4%]의 세금만을 내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비과세 상품은 이자소득에 대해서 전혀 세금을 내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율과세와 비과세는 은행예금이나 적금에서 얻은 이자를 과세하는 방식을 가리킵니다.

    저율과세란 은행예금이나 적금에서 얻은 이자를 일반 소득세율보다 낮은 세율로 과세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정부는 사람들이 돈을 저축하고 경제에 투자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더 낮은 세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금 및 저축 예금에 대한 이자가 개인당 20%의 세율로 부과됩니다.

    비과세란 은행예금이나 적금의 이자를 전혀 과세하지 않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돈을 저축하고 경제에 투자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개인이 저소득, 고령자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저축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율과세란 예를 들어 10%의 세금을 납부하여야 하나

    5%의 세금을 납부하여 세금을 줄이는 것이며

    비과세란 세금을 납부하여야 하나 세금을 납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