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 잡으러 11조 쓴다는데 언제 체감되나요
생활비잡을려고 11조나 나라에서 지원한다고 하는데요 왜 막상 서민입장에선 체감이 안되는건지 궁금해사요 이유가 뭔가요 ~ 알려주새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생활비를 잡기 위해서 11조원을 쓰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이런 비용을 투입한다고 발표한 상황이고
실제로 아직은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비가 11조 지원으로 생활물가를 낮추려고 하지만 효과는 지연됩니다.
재정투입이 기업, 농가를 거쳐 소비자 가격으로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체감 부족은 정책 전달 구조의 복잡성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11조라는 예산도 그다지 크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인구를 5천만명으로 잡았을 때 1인당 22만원 정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즉 개인별로 22만원의 효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생활비 부담을 줄이겠다면서 11조 규모 대책을 내놨다지만 체감이 잘 안 되는 건 구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지원금이 직접 현금으로 들어오는 게 아니라 전기요금 인상 억제나 물가 안정 보조 같은 방식으로 흩어지다 보니 당장 손에 쥐는 느낌이 적습니다. 또 물가가 이미 많이 올라 있어서 혜택이 상쇄되는 부분도 있고요. 지원 시기가 늦어지거나 대상이 제한적이라 놓치는 사람도 많습니다. 체감 효과는 분명히 시간이 걸릴 수 있고 실제 가계 상황마다 차이가 크게 난다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생활비를 잡으려고 추경을 한다기 보다는 침체된 소비를 조금이나마 활성화시키려는 지원인데요. 개인에게 11조를 주는 게 아니라서 체감하긴 매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원금이 평균 생활비 상승률 들 현실적인 필요 지원금 대비 낮은 금액때문일 수 있습니다.
지원 규모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있으며 일회성 지원인 단기적 대책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 눈에 띄게 체감이 되려면 지속적인 지원이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11조 원 지원에도 생활비 부담이 체감되지 않는 이유는
1. 물가 구조적 문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식료품, 의류 등 필수 소비재 가격이 주요국보다 높아 인플레 둔화(5%→2.7%)에도 체감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2. 지원 분산: 11조 원은 일자리(124만 개), 온누리상품권, 관광업 지원 등 다양한 항목에 분산되어 개개인의 혜택이 미미할 수 있습니다.
3. 집행 지연: 예산의 60% 이상(36조 원)을 상반기에 집행하지만, 실제 효과는 하반기 이후에나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4. 소비 위축: 최근 정치·경제 불확실성으로 소비 심리가 얼어붙어 지원 효과가 즉각적으로 체감되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이후 18.5조 정도 추경편성을 통해서 내수 경기 회복을 위해서 노력하는 중입니다
이번 전국민 민생회복 지원금도 그러한 정책 중에 하나죠 물가를 잡기보다는 소비를 늘려서 경기를 살려보자는게 더 큰 무게를 두고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는게 핵심이긴 한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