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숙련된하이에나116
숙련된하이에나11623.09.04

홍범도 장군이 잘못한 부분도 있는 건가요?

요즘 뉴스를 보면 홍범도 장군 이야기가 너무 많이 나오는데요 그런데 저는 평소에 홍범도 장군을 엄청 존경하고 있었는데 혹시 잘못한 부분도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홍범도 장군은 독립군을 조직하여 목숨을 걸고 나라를 위해 투쟁하신 분으로 평가됩니다. 유명한 전투로는 봉오동전투가 있지요. 홍범도 장군이 공산주의를 접하게 된것은 간도 만주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던 홍범도 장군이 당시 레닌 서기장이었던 소련에서 소수민족의 대한 탄압을 반대하고 반식민지, 반제국주의를 표방하며 여러 단체들을 지원했기 때문입니다. 홍범도 장군이 살던 시기의 역사적 관점에서 다양한 지식을 요구하여야 하는데 단면으로 저 사람은 공산당 가입한 이력있으니 무조건적으로 나쁜 사람이다하는것은 옳지못하다고생각이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홍범도 장군은 일제 식민시대에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운 독립운동가입니다.

    최근 흉상 이전 논란에서 볼 수 있듯이 육사에서 이전해여 독립기념관으로 옮기는 것을 검토 중이라는 것으로 보아 독립유공자임에는 이견이 없는 듯 합니다. 하지만 그가 1927년 소련 볼셰비키 공산당원이었다는 것이 자유민주주의에 입각한 국가관 확립을 교육 목표로 하는 육군사관학교에 흉상이 있다는 것에 문제 제기가 되어왔던 것 같습니다.

    당시에는 일제 치하에 공산주의, 사회주의 사상을 접한 국민들 중 지식인들이 조국의 독립 운동을 위해 공산주의, 사회주의 사상을 활용하였기에 해방 이전에 그러한 사상을 가진 독립유공자들은 적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해방 이후 6.25 전쟁 전까지 공산주의자였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6.25 전쟁에 공산주의 쪽 편에 서서 지금의 우리 대한민국을 침략하는데 일조하고 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그러한 활동을 했다면 그것은 당연히 문제가 되는 것이겠죠. 하지만 홍범도 장군은 6.25 전쟁이 일어나기 훨씬 전에 사망하였기에 거기에 관계 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다만 홍범도 장군에 대해 문제제기 하는 측은 자유시 참변에 그가 관여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자유시 참변이란 1921년 만주 일대를 근거지로 하던 독립군부대가 대한독립군단으로 조직을 규합하고 연해주로 이동하게 됩니다. 전체 규모는 2천여명 되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소련 공산당이 무기 등을 지원한다고 의심한 일본이 독립군의 무장해제를 러시아에 요구하게 됩니다. 이에 같은 해 6월에 러시아는 독립군에 무장해제를 명령하자 독립군은 저항하자 사살 또는 포로도 체포하는 참변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런데 소련이 일본의 관계만이 아니라 이 내면에 독립군 내부의 분열 및 이해 관계가 얽혀있었다는 문제가 붉어져 나오게 됩니다. 독립군 부대와 극동공화국 인민혁명군의 지휘권에 대한 싸움이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극동공확국 인민혁명군은 소련 내전 때 소련 측에서 만들었던 조직입니다. 독립군 부대는 거의 전멸하다시피 하여 사라졌고, 남아있는 포로들은 재판에 회부되어 그에 따른 처벌을 받게 됩니다.

    홍범도 장군이 그 자유시 참변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였다는 증거는 없으나 여러가지 이유에서 그가 몰살하다시피한 독립군 부대 쪽이 아닌 혁명군 편에 섰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과 그에 따른 책임이 있다고 보는 쪽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그가 자유시 참변 후

    1. 포로들의 재판에 군사재판 위원으로 참여하였다는 점

    2. 연해주에 거주하면서 레닌으로 부터 혁명정권 협조에 감사하다며, 금전적 지원과 권총을 하사 받은 점

    3. 그 이후 1927년에 볼세비키 당에 입당하여 소련군 대위로 편입되고, 조선인여단 지휘관으로 승진하고, 휘하의 독립군 병력 300여명을 소련군으로 편입시킨 점

    4. 자유시 참변 생존자인 사할린부대 출신의 김창수, 김오남이 자유시 참변의 책임을 물어 홍범도 장군을 죽이려고 했을 때 레닌에게 받은 총으로 그들을 사살했는데, 이후 감옥에 갇힌 후 레닌의 증명서로 석방된 점

    등 여러 이유로 인해 혜택을 받았으니 자유시 참변에 독립군 부대를 공격하여 사살하는데 일조했다는 의심을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근거는 없다고 보이고 비난하는 측에서 정황상 추측하는 것이라 보이며, 6.25전쟁 훨씬 전에 사망하였기에 독립운동 외에 현 대한민국에 위해를 가한 행적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홍범도장군은 김좌진장군의 청산리대첩에 버금가는 봉오동대첩에서 일본군 157명 사망 200여명 중상 100여명의 경상자를 발생시킨 대승리의 주역입니다. 그외에도 크고 작은 전투에서 승리하였고 오직 조국의 독립의 꿈을 이루기 위해 평생 노력해오신 분입니다. 우즈베키스탄에 있던 유해를 국가 최고의 예우로 모셔온 지가 엊그제같은데 시답지않은 이념논쟁으로 그분을 폄훼하는 모습에 경악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친일정권에 의해 유린되는 장군이 하늘에서 통곡하고 있을 것만 같아서 매우 안타깝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홍범도 장군은 일제강점기 백두산과 만주 벌판을 누비며 일본군을 토벌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 봉오동·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글었습니다. 그는 광복 2년을 앞두고 카자흐스탄에서 숨을 거두고 그의 유해는 서거 78년만인 2021년 국내로 돌아와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고 합니다.

    홍 장군은 과거 소련 공산당 경력이 있다는 이유로 흉상 철거 대상이 되었는데 그런 주장과 당시 상황이 어쩔수 없는 상항이 있었다는 주장이 갈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