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3

일제강점기 '독립의군부' 라는 독립운동단체는 어떠한 활동들을 하였는지요?

아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했던 우리 민족의 모습들에 대해서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단체는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있지가 않더라구요ㅠㅠ그래서 선생님들께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립의군부(대한독립의군부)는 1912년 고종의 밀명을 받고 조직된 독립운동단체를 말합니다.​

    1912년 9월 고종의 밀명을 받은 임병찬이 독립의군부 전라남도 순무대 장의 이름으로 비밀리에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이며 일본정부와 조선 총독 및 주요관리에게 일제의 한반도 강점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국권반환을 촉구하는 요구서를 보내는 한편, 일제를 몰아내기 위한 의병전투를 준비하는 것을 활동목표로 하였습니다.

    임병찬은 아들 임응철을 통해 이인순·곽한일·전용규 등과 협의한 뒤 1912년 12월 호남지방의 의병과 유생을 규합하여 의군부조직을 전라남북도로 확대하였으며 1913년 2월 임병찬은 고종으로부터 다시 전라남북도 순무총장 겸 사령장관에 임명되었습니다. 1914년 본거지를 서울로 옮기고 전국적인 조직으로 확대하는 한편, 명칭을 대한독립의군부로 고쳤습니다. 총사령에 추대된 임병찬은 조직을 개편하여, 중앙원수부 밑에 병마도총장과 참모총약장을 두고, 서울·강화·수원·개성·광주에 오영을 설치하였으며 각 도·군 단위의 조직을 완성하고 그 대표를 선정함으로써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였습니다. 그리고 1914년 5월 국권반환요구서를 전국의 조직을 통해 일제히 발송하고 360여개 처에서 일제히 국권반환과 일본군 철병을 요구하는 전화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5월 23일 단원 김창식이 붙잡힘으로써 조직이 발각되었고 주요 임원과 임병찬이 일본경찰에 잡히면서 대한독립의군부는 해체되었습니다.

    ​출처 :지식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2년 9월 고종의 밀명을 받은 임병찬(林炳瓚)이 독립의군부 전라남도 순무대 장(巡撫大將)의 이름으로 비밀리에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입니다. 일본정부와 조선 총독 및 주요관리에게 일제의 한반도 강점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국권반환을 촉구하는 요구서를 보내는 한편, 일제를 몰아내기 위한 의병전투를 준비하는 것을 활동목표로 하였습니다.

    임병찬은 아들 임응철(林應喆)을 통해 이인순(李寅淳)·곽한일(郭漢一)·전용규(田瑢圭) 등과 협의한 뒤 1912년 12월 호남지방의 의병과 유생을 규합하여 의군부조직을 전라남북도로 확대하였다. 1913년 2월 임병찬은 고종으로부터 다시 전라남북도 순무총장 겸 사령장관에 임명되었다. 1914년 본거지를 서울로 옮기고 전국적인 조직으로 확대하는 한편, 명칭을 대한독립의군부로 고쳤다. 총사령에 추대된 임병찬은 조직을 개편하여, 중앙원수부(中央元帥府) 밑에 병마도총장(兵馬都總長)과 참모총약장(參謀總約長)을 두고, 서울·강화·수원·개성·광주에 오영(五營)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각 도·군 단위의 조직을 완성하고 그 대표를 선정함으로써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였다.

    1914년 5월 국권반환요구서를 전국의 조직을 통해 일제히 발송하고 360여개 처에서 일제히 국권반환과 일본군 철병을 요구하는 전화를 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5월 23일 단원 김창식(金昌植)이 붙잡힘으로써 조직이 발각되었으며, 주요 임원과 임병찬이 일본경찰에 잡히고 대한독립의군부는 해체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한독립의군부 [大韓獨立義軍府]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03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립의군부의 활동 목표는 일본의 내각 총리대신과 조선총독 및 주요 관리들에게 국권반환 요구서를 보내 한국강점의 부당함을 깨우치고 대규모 의병전쟁을 준비하는 것이었습니다.

    1914년 5월 국권반환 요구서를 전국의 조직을 통해 일제히 발송, 360여 곳에서 조선총독부로 동시에 국권 반환과 일본군의 철병을 요구하는 전화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같은 달 23일 동지 김창식이 붙잡혀 조직이 발각되어 이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임병찬을 비롯한 많은 동지들이 일본경찰에 붙잡혔고 임병찬은 붙잡힌 뒤 총독과 일본정부 총리대신과 직접 면담을 요구하며 항쟁하다 거문도로 유배, 1916년 끝내 병으로 순국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립의군부는 전 낙안 군수 임병찬(林炳瓚)이 고종(高宗, 재위 1863~1907)의 밀지를 받아 조직한 단체로 알려져 있다. 1912년 9월 고종의 밀지가 처음 내려졌을 때는 고사하였지만, 1913년 1월과 2월에 다시 밀지를 받고는 단체를 조직하였다. 독립의군부는 기존에 의병 투쟁을 전개했던 유림들이 주축이 되어 전국적으로 조직이 추진된 의병 계열의 비밀 단체였는데, 전라도 지역 조직이 가장 활발히 활동하였다.

    -출처:우리역사넷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