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중한파리매121
신중한파리매121
24.01.21

치과 재재신경치료 의미가 있울까요?

안녕하세요.

잇몸에 볼록한 부분이 생겨 재신경치료를 받은지

1년이 지나지 않았는데, 다시 볼록한 부분이 생겨

잇몸을 누르거나 스치면 불편감이 생기네요…

한 달 전에 대학병원에서 엑스레이와 진료를

봤는데 아무 이상이 없다고 했었구요ㅜㅜ

이럴 경우 재신경치료 한 치아를 또 재신경치료를

해야하나요? 아니면 다른 수술이 필요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우식 치과의사blue-check
    송우식 치과의사
    솔플란트치과 경기도 성남시 모란역
    24.01.21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잇몸에 볼록한 부부인 생긴 것은 잇몸에 염증으로 치석이 쌓여서 잇몸에 염증을 유발하였을 가능성이 높기에 치과에서 스케일링 및 잇몸치료를 받길 권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재신경 치료를 하고 나서도 찍은 단 무의 염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 신경치료를 하기보다 잇몸을 열어서 치근단 수술을 해주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치근단 수술은 염증이 있는 뿌리 부분에 직접 접근을 해서 염증인과 염증의 원인을 제거하는 술식입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치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의 현재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 두가지 모두 가능성 있고 발치를 해야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재신경치료를 한번 한 치아라면 다시 하는건 크게 의미가 없고 치근절제술이나 발치를 하셔야될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재신경치료로도 회복되지 않는 치아는 사실상 더 이상의 치료가 힘들 수 있습니다. 남은 치료 옵션은 치근단 절제술, 치아재식술 등 치아 염증의 근원이라고 추측되는 치아 뿌리쪽을 아예 자르는 방식의 외과적 수술입니다. 다만, 대학병원 보존과에서 이미 상담을 받으셨고 큰 이상은 없다는 소견을 들으셨다면 조금 기다려보는 것도 괜찮고 아니면 치주과를 가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염증과 관련해서는 잇몸과 치아 속 신경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 복합적 질병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