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다나에
다나에
22.11.15

비가 오는 과정을 쉽게 설명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초등학교 입문하기 전 아이에게 쉽고 간편하게 설명할 방법이 있을까요?

너무 어려운 단어는 이해하기 힘들 것 같고

어떻게 설명해야 이해하기 좋을 지 모르겠어요.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1.15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름속에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충돌해서 합쳐져서 큰물방울이 되고 작은 물방울은 다시 큰물방울로 합쳐지고 하면서 물방울이 점점 커지다가 무거워지면 땅으로 떨어집니다. 땅으로 떨어지다가 공기의 온도가 낮으면 얼어서 눈이되고 온도가 높으면 그대로 비가되어 내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께서 완벽히 이해하셔서 아이에게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비유를 하며 쉽게 설명해주길 바랍니다!

    먼저 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수증기량(물이 증발하여)이 많은 공기가 상승하는 바람(공기의 흐름=기류)을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수증기는 바다의 물이나 강물 호수의 물이 증발하며 공기중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구름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 있는데, 구름 속 수증기량과 물의 양이 많을 때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부딪히고 충돌해 병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크기가 커져 무거워지며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죠. 이것이 비가 내리는 원리입니다.

  • 구름 입자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하늘 위에 떠다닐 수 있습니다.

    이 구름의 입자에 수증기가 조금씩 달라 붙게 됩니다.

    이것이 1mm 정도의 물방울이 되면 비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선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비가 내리는 이유를 알기전에 비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 되는데요. 우선 하늘에 떠 있는 구름속에 어떻게 무거운 빗방울이 있을 수 있을까?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하늘에 떠 있는 일반 구름들은 비가 내리기에 알맞는 구름들이 아닙니다. 구름의 구조는 중층부에서는 수증기와 얼음알갱이가 함께 들어 있어 서로서로 붙어버리는 성질이 있어요. 이렇게 물방울과 얼음알갱이가 서로붙으면서 무거워 지기 때문에 아래로 떨어지는 것인데요. 떨어지는 과정에서 녹지 않으면 눈이 되어 떨어지고 녹으면 비가 되는 것이죠. 녹고 있는 중에 땅에 떨어지는 것을 진눈깨비라고 부릅니다.


    얼음알갱이들이 그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지상으로, 떨어지는데 그때 대기의 온도가 높아서 얼음이 견디지못하고 녹으면서 비로 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얼음 알갱이들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기중에 먼지들에 수분입자들이 달라붙고, 이런과정이 반복되면서 큰 얼음 알갱이가 되어 무거워지면 땅으로 떨어지면서 녹으면 "비"로 변하는 것이고 추워서 온도가 낮으면 눈이나 우박으로 내리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태양때문에 바다가 증발하고 상공의 차가운 공기와 수증기가 만나 물방울이 되는것을 구름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면 구름이 무거워지고 축축해져 비로변해 떨어져내립니다.


    구름이 떠 있을 수 있는 이유는 증발하면서 떠오르는 상승기류에 의해 떠받혀있기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대기의 온도가 높으면 땅과 바다에서 물이 증발되어 수증기가 발생되고,

    하늘에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수증기를 서로 뭉치게하는 매개체(빙정핵)이 많게되면 수증기는 물방울로 뭉치게되고

    이 물방울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게되면 비로 내리는 것입니다.

    주방에서 음식을 할때 실험으로 보여 주시면 간단 할 것 같습니다.

    물을 끌이면 수증기가 발생되고 이때 냄비위에 쟁반을 대게 되면 수증기가 맺히게되고

    맺힌물이 많게 되면 아래로 떨어집니다. 비가 생기는 원리와 똑같은 현상 입니다.

    태양열은 가스불, 바다는 냄비의 물 , 쟁반은 빙정핵(물을 맺게 만드는 매개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