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냉철한라마35
냉철한라마3523.12.26

야구에서 포크볼은 직구로 가다가 푹 떨어지는데요 이게 어떤 원리에서 그렇게 되는 건가요

투수존에서 타석까지 그렇게 먼 거리가 아닌데요 빠른 속도로 공을 던지고 그러는데 어떻게 그 안에서 공기를 그렇게 크게 변화할 수가 있는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6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에서 투수가 공을 던질 때 공기 중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은 주로 공의 회전, 속도, 그리고 공기 역학적 원리에 의해 설명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공기 중에서 공의 궤적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1. 공의 회전 (Spin): 투수가 공을 던질 때, 공에는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해집니다. 이 회전은 두 가지 주요한 효과를 만듭니다:

    - 마그누스 효과 (Magnus Effect): 회전하는 공은 주변 공기를 끌고 가면서 한쪽 면에서는 공기를 압축하고 반대쪽에서는 희석시킵니다. 이로 인해 공은 압력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것이 공이 곡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이유입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나 커브볼 같은 변화구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 자이로스코픽 효과 (Gyroscopic Effect): 특정한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하는 공은 안정성을 가지고, 이로 인해 투수가 의도한 방향으로 공이 직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공의 속도 (Velocity): 공의 속도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이 빠를수록 공기 저항이 더 크게 작용하며, 이는 공의 궤적에 영향을 줍니다.

    3. 공기 저항과 터뷸런스 (Air Resistance and Turbulence): 공이 공기 중을 지나갈 때, 공기 저항과 주변의 터뷸런스도 공의 궤적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외부 요인들은 공의 방향이나 속도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4. 피칭 그립과 릴리스 포인트 (Pitching Grip and Release Point): 투수가 공을 잡는 방식과 던지는 순간의 손의 위치 또한 공의 궤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공의 초기 회전 방향과 속도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물리적 원리와 투수의 기술이 결합하여, 투수와 타자 사이의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서도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공의 궤적이 만들어집니다. 이는 야구에서 피칭과 타격의 전략적 요소를 더욱 흥미롭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포크볼은 공이 거의 일직선으로 가다가 타자 바로 앞에서 폭포수처럼 종으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구종입니다.

    이러한 포크볼의 원리를 이해하려면, 공이 날아가는 동안 공기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하는데, 일류 투수의 포크볼은 초당 10회전 정도의 느린 ‘사이드 스핀’ 공입니다. 사이드 스핀이란 회전축이 지면에 수직인 회전을 말하며 이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는 마그누스 힘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크볼은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공의 회전속도와 공기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따라서 커브의 각도와 구속이 결정됩니다.

    공이 회전할 때 공기가 밀려서 저압 지대가 발생하게 되고, 공은 저압지대로 휘어집니다.

    공이 왼쪽으로 움직이는데 회전이 공기를 오른쪽으로 밀어내고 왼쪽에 저압 지대를 만듭니다.

    패스트볼이나 커브볼을 만들때 주로 사용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