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편안한여우56
편안한여우5622.11.01

36개월인데 아직 말문이 안트인아이

또래보다 말문이 안트이는 아이

따로 검사를 받아야 할까요 .조금

더딘거라 생각하는데 주위에서 자꾸

입을댑니다

발달검사나 이런곳에 가봐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 3세가 되었는데도 언어적 발달이 지연되었다면 검사가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만3세이후에도 언어가 늦는것은 조기에 확인을 하고 개입이 필요한것으로 볼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얼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친구의 정확한 수용 및 표현언어의 정도에 대해 자세하게 기입을 해주지 않으셔,

    정확한 내용을 설명드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보통 36개월이 된다면 3개의 단어를 사용하여 문장으로 표현을 합니다.

    만약 친구가 두 단어 이상을 조합하여 문장으로 표현하거나, 언어를 표현하는데 제한적인 부분 이 외

    사회성, 놀이발달에 크게 문제가 없다면 아이들마다 편차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기다려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때, 가정에서 부모님과의 상호작용은 잘 되고 있는지, 미디어에 대한 노출이 많지는 않은지 살펴보시고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이 듣고 말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단어의 산출에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또래에 비해 많은 차이가

    확연하게 느껴지신다면 조심스럽게 발달 및 언어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2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최근 마스크 착용이 아이들의 언어 습득에 방해물이 되고 있습니다. 한창 언어를 배워야 할 시기에 입 모양과 표정을 보지 못하니 언어 습득이 느려질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아이와 자주 말 걸어주시고 말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는 데 있어 눈에 보이는 언어적인 능력은 부모가

    아이의 발달과정과 단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사람의 성향과 성격이 다 다르듯 아이의 발달 또한

    사람마다 다 다르고 개인차가 있습니다.

    아이가 또래 아동에 비하여 인지나 발달에 문제가 없다면 성장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좋아지므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으니 힘내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에 따라 언어 발달 수준이 천차만별입니다.

    다른 문제가 없다면 조금 기다려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들은 한 번 말문이 트이면 급속도로 언어 발달이 이뤄지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꼭 무슨 문제가 있어서라기 보다는 개월수에 맞는 발달 진단 검사를 받아 보는 것도 우리 아이가 어느 정도의 언어 수준이 되는 지 가늠해 보는 기회가 되므로 발달 검사를 받아 보기 바랍니다.

    아이와 장난감으로 상호작용 놀이를 하면 금방 말이 틔일 것입니다.

    매일 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언어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가 36개월이라면 언어가 트이지 않았으면

    말이 늦은 편은 맞습니다.

    아이를 위해서라도 한번 언어발달검사를 진행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조금 더디기는 하네요

    이러한 경우에는

    언어치료센터에 방문하셔서 상담을 받아보시면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36개월이라고 한다면

    개월수에 비해 느린편이지만

    아이마다 편차가 있기때문에

    부모가 너무 조급해 하시면 아이게게 스트레스를 줄수 있습니다

    때문에 계속 현상태가 지속된다면 언어치료센터를 방문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코로나로 마스크 생활을 하기에 코로나 시기에 언어를 습득해야하는 아이들의 언어가 많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긴합니다. 아이가 수용언어와 표현언어가 어느정도 된다면 크게 문제 될것은 없어보입니다만 36개월이니 검사를 해보시는 방법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언어치료는 어릴 때 시작 할 수록 치료예후가 아주 좋습니다. 검사를 받아서 정상범위에 들면 안심하시고 생활하시면 될것이며 , 치료를 하게 된다면 가능한 빨리 하는게 경제적으로나, 아이를 위해서도 더욱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3세~4세(24개월~35개월) 정도가 되면 아이는 수다쟁이가 됩니다. 어휘력이 급격히 증가해 최대 600개 정도의 단어를 사용하기도 하고, 서너 개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도 말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는 개인차가 있는 사항이기 때문에아이가 어느정도 인지 몰라 답변을 드리기 어렵겠으나 언어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