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수육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중화요리를 먹을 때면 항상 같이 주문해서 먹는 탕수육 있잖아요.이런 탕수육은 어떻게 해서 이름이 탕수육으로 되었는지 탕수육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 안녕하세요. 얌전한메추리57입니다. - 탕수육은 아편전쟁 직후 수세에 몰린 중국인들이 영국인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개발한 음식이라는 굴욕의 역사가 담겨 있습니다. - 중국인들은 육식을 좋아하는 영국인들의 입맛에 맞고 서투른 젓가락질로도 잘 집어먹을 수 있는 요리를 개발하게 된것이 탕수육이라고 한다네요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 당(糖)과 식초(醋)가 들어간 탕추(糖醋, 탕초, sweet and sour) 소스를 활용한 요리법은 중국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오래된 요리법이며, 각 지역마다 이름과 형태가 조금씩 다른 유사 요리들이 존재한다. 시간이 흐르며 서로의 조리법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고, 한국과 일본 및 동서양의 여러 국가들에도 전해지면서 조금씩 형태가 섞이고 변화되어 전해졌다.   
 중국 내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북경과 산동 등 동쪽 해안 주변 지역의 "탕추리지(糖醋里脊, 탕초리척)"[3]이다. 등심 부위를 손가락처럼 긴 모양으로 잘라 전분 반죽을 묻혀서 튀긴다. 녹말이 들어가서 걸쭉한 탕추 소스를 사용하지만 한국식 탕수육과 달리 소스에 양파, 오이 등의 야채가 들어가지는 않으며 신 맛이 강한 편이다. 한국식 중화 요리가 19세기 말~20세기 초 산둥성 출신 화교들이 인천으로 건너와 개점한 청요리집에서 출발했다는 점에서, 한국식 탕수육의 가장 직접적인 유래로 여겨진다.  
 둥베이 지역에서는 "궈바오러우(鍋包肉, 과포육)"[4]가 대표적인 요리다.[5] 궈바오러우는 만주족의 만주 요리에서 유래했으며 고기를 크고 넓적하고 얇게 저며 감자전분 반죽을 묻혀서 튀긴다. 튀김은 겉은 바삭하지만 안은 쫄깃한 편이다. 소스는 국내에서 취급하는 가게들의 경우 점도가 낮고 신 맛이 강한 소스, 진득하고 붉은빛이 나는 양념치킨 소스 같은 느낌의 소스, 탕수육 소스와 비슷하지만 색이 밝고 찐득한 소스 등 가게마다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어느 게 정석이라기보다는 원래 동북 지방에서도 지역마다 주로 먹는 소스의 스타일이 조금씩 다르다는 모양이다. 한국에서는 흔히 '꿔바로우/꿔바러우' 등으로 불리며, 2010년대에 한국에 양꼬치/훠궈, 마라탕을 취급하는 중국식 양고기 전문점이나 마라탕집에서 동북 요리를 함께 많이 선보였다. 그 중에서도 한국인의 입맛에 매우 잘 맞는 요리였기 때문에 현재는 양꼬치집이나 마리탕집이 아닌 일반 중화요리집에서도 판매하는 곳이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