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우리나라 내수경제밖에 없나요???

우리나라는 글로벌무역으로 먹고사는것도 중요한데 결국 내수경제로 일반 사업자들은 먹고 살수 밖에 없는 구조인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무역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지만, 일반 사업자들은 내수 경제를 바탕으로 생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수 시장은 안정적인 수요를 제공하며, 다양한 중소기업들이 이 시장을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의 변화와 연결된 내수경제는 수출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내수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수와 글로벌 무역을 모두 고려한 균형 잡힌 경제 활동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는 내수 경제 밖에 없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은 무역이 제일 중요한 나라입니다.

    내수 경제로 보기에 인구 5,000만 명은 그렇게 큰 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수출을 해야 하는 나라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내수경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 내수와 수출 모두 gdp에 포함이 되는 사항입니다.

    • 또한 가계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내수가 살아나야 합니다

    • 우리나라 gdp가 아무리 높아도 내수경제가 안좋다면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매우 안좋다고 느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사업자의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모르겠으나 우리나라는 내수시장이 약한편이라 수출로 국가 경쟁력을 올려야 합니다. 외식업 등의 소상공인은 내수경제가 살아나야 함께 살아나는 것은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도 내수경제의

    비중이 50% 정도인 등 상당히 큰 나라로

    내수와 외수 모두 다 중요한 요소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짧은 질문이지만 생각할 거리가 많네요.

    물론 한국 경제는 글로벌 무역에 크게 의존을 국내의 대부분 자영업자분들은 내수 경제가 피부에 와닿는 경제죠.

    그 이유는 국내 소비자들의 수요를 기반으로 생계를 유지 하기 때문 입니다. 이에 반면 대기업들은 수출 의존도가 높고 직간접적으로 대기업의 성과는 국가 경제 전반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는 또한 내수 경제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에 내수 경제 또한 경제적으로 안정이 될려면 글로벌 경제가 활성화 되어야 하는 것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업자들이나 기업들은 기본 주 사업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크게 보면 내수 사업이냐 수출사업이냐 두가지 이며 그리고 B2C B2B 아니면 B2G 이렇게 세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규모가 작은 일반 개인사업자들은 당연히 내수경제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해외관광이라는것도 결국 내수소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할것인지 아니면 B2B로서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이 수출기업이라면 이는 간접수출로영향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또한 정부사업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고 이는 내수경제라기보다는 정부지출에 가까운 부분이기 때문에 이부분은 내수경제랑은 별개로서 작용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수 경제도 당연히 GDP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수출 주도형 구조라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45% 내외입니다. 즉, 한국은 경제활동의 부가가치의 거의 반이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수출 주도형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면, 일본의 경우 민간투자, 정부지출 등을 합친 민간 소비가 전체 GDP의 약75% 내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교역이 위축 되어도 일본 보다 한국이 더 크게 흔들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