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6.21

타박상으로 인해 피부에 멍이 들면, 왜 푸르스름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타박상으로 인해 피부에 멍이 들게 되면, 처음에는 푸르스름했다가 나중가면 보라색으로 변하는데요

멍이 드는 이유가 혈관이 터져 피부 내에 피가 퍼지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피는 보통 빨간색 아닌가요... 그렇다면... 빨개 져야 하는게 맞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멍이 생기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출혈된 피가 가지고있던 산소의 양이 줄어 피가 검붉은색으로 변합니다.

    이 검붉은색은 피부를 통하여 보게되면 푸른색으로 보이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부에 멍이 들면 자국이 생기는 이유는 쉽게 말해 피가 뭉친것입니다. 혈관 파열로 인해 피부 아래에 혈액이 축적되면서 생기는 것이며, 이는 외상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타박상으로 인해 피부에 멍이 들면 푸르스름해지는 이유는 피부 아래의 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피부 밖으로 새어나오기 때문입니다. 이 혈액은 혈소판과 백혈구가 모여 혈전을 형성하고이 혈전은 멍의 푸른색을 띠게 됩니다. 멍의 색깔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혈액이 분해되면서 변하는데 처음에는 푸르스름한 색에서 녹색 노란색 갈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부가 멍이든 이유는 내부 혈관이 터져 피가 나온 것입니다

    피가 피부에 맺쳐있어서 우리가 볼때 푸르게 보이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멍이 생기면, 파열된 혈관으로 인해 혈액이 주변 조직로 새어나가게 됩니다. 이때 혈액이 산소와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혈액의 산소와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적혈구가 산소를 잃고 색이 변하게 됩니다. 특히 피부 미세혈관은 혈액과 더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멍이 생기면 피부의 표면에서 볼 수 있는 적혈구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 멍이 생기는 현상은 피부 내부의 혈관이 손상되거나 터지면서 혈액이 주변 조직으로 퍼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혈액 속의 적혈구에 포함된 혈색소 때문에 피부가 푸르스름한 색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매우 강한 충격이나 외부 압력으로 인해 혈관이 손상되면, 혈액이 피부 주변 조직으로 흘러가면서 푸르스름한 멍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 멍은 서서히 변하게 되며, 이는 혈액 속의 적혈구가 분해되고 흡수되면서 색상이 변하는 과정입니다. 처음에는 푸르스름한 멍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라색, 녹색, 노란색 등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멍은 피부에 혈액이 퍼지는 과정에서 혈액 속의 적혈구가 분해되고 색상이 변하면서 나타나는 것이므로, 빨갛게 져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