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편찬된 이승휴의 제왕 운기는 어떠한 내용을 다룬 책인가요
학창 시절 제왕운기라는 고려 시설에 편찬된 책의 이름은 아주 많이 들어 보았습니다 이승휴라는 사람에 의해서 편찬이 되었는데요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그 내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왕운기』는 중국과 우리 민족과의 지리적·문화적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우리는 중국과 구별되는 독자성·자주성·주체성을 가진 우수한 문화민족임을
국민 각자에게 자각하게 하여 몽고의
정치적 지배에 대항하는 정신적 지주로 삼기 위하여 제작, 기록된 것입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왕운기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다룬 책입니다. 중국 같은 경우 원나라의 등장까지 다루고 있고, 우리나라 같은 경우 고려 충렬왕까지의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권에서는 서 에 이어 중국 역사의 요점을 신화시대부터 삼황오제, 하, 은,주의 3대와 진, 한 등을 거쳐 원의 흥기에 이르기까지 칠언고시 264구로 읊어놓았으며 하권은 우리나라 역사에 관한 내용으로 동국군왕개국연대와 본조군왕세계연대의 2부로 나누었습니다.
전자에는 서에 이어 지리기 , 단군의 전조선, 기자의 후조선, 위만의 찬탈, 삼한을 계승한 신라, 고구려, 백제 3국과 후고구려, 후백제, 발해가 고려로 통일되는 과정까지 칠언고시 264구, 1460언으로 서영했으며 후자는 고려 태조 세계설화에서 필자 당대인 충렬왕 때까지 오언으로 읊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말 이승휴가 지은 서사시.
상하 2권 1책. 이승휴가 64세 무렵에 삼척 두타산의 구동에서 저술하였다. 중국의 역사와 우리 나라의 역사를 대등하게 견주어 읊은 영사시라고도 할 수 있다. 상권(上卷)은 중국의 신화시대인 삼황오제에서부터 금(金), 원(元)에 이르기까지의 역대 왕과 그 사적을 7언 264구 1848자로 읊었고, 하권(下卷)은 우리 나라의 역사를 고려시대 이전과 고려시대로 나누어, 1부에서는 동국군왕개국연대(東國君王開國年代)라 하여 단군으로부터 삼국시대, 발해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7언 264구 1848字로 읊고, 2부인 본조군왕세손연대(本朝君王世孫年代)에서는 고려 태조로부터 충렬왕 당시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5언 152구 7160字로 읊고 있다.
사이사이에 주(注)가 있는 것은 이규보의 <동명왕편>과 같은 형식이다. ≪제왕운기≫는 이승휴의 역사 인식이 뚜렷하게 드러난 작품으로 당시 원나라 지배하의 세계 질서 속에서 중국과 한국의 역사를 시로 읊어 자신의 사관(史觀)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자주적인 역사관과 민족의식을 두드러지게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은 ≪삼국유사≫에 기술된 내용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오언시로 읊은 고려의 역사나 중국역사와 우리의 역사를 대등하게 기술하여, 작품 전체를 2중 구조로 구성한 것들이 서사시의 전통성을 살리고 있으며, 내용에 있어서는 그의 국가의식의 일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제왕운기≫의 찬술은 지원(至元) 24년(1287), 고려 충렬왕 13년에 완성되었는데, 찬술 즉시 간행되지 않고 약 8, 9년만인 원정년간(元貞年間, 1295~1296)에 진주목(晉州牧)에서 처음으로 발간되었다.
불행하게도 이 초간본은 현재 전해지는 것이 없다. ≪제왕운기≫의 중간(重刊)은 이승휴(李承休)의 막내 아들 전밀직사(前密直使) 연종(衍宗)이 발간하여 했으나 여러 사정으로 실천하지 못하고, 조카 사위인 안극인(安克仁)이 경상도 안렴사중산대부 병부시랑(慶尙道按廉使中散大夫兵部侍郞)의 직(職)에 있을 때 진사(進士) 김희(金禧)의 글씨로, 지정(至正) 20년(1360)인 공민왕 9년에 경주에서 간행하였다. 삼간(三刊)은 영락(永樂) 15년(1417:태종17) 정유(丁酉) 5월에 경주유학교수관(慶州儒學敎授官) 이지(李輊)가 영감사(令監司) 이지강(李之剛), 부윤(府尹) 이승간(李承幹), 판관(判官) 심영(瀋泳)과 함께 역시 경주에서 간행했다. 지금 남아 있는 목판본(木板本)은 삼간본(三刊本)으로 계명대 도서관, 영남대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출처 : 한국문학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왕운기는 이승휴 (李承休)가 고려 말 1287년 (충렬왕 13)에 한국과 중국의 역사를 운율시 형식으로 서술한 역사시 (歷史詩)로, 상‧하 2권 1책으로 구성된 서사시의 형태 입니다. 1287년 당시 이승휴는 1280년 충렬왕에게 실정과 부원세력들의 폐단들 10여가지를 상소했으나 파직 되어 은둔했는데, 제왕운기는 이승휴가 어려운 시기에 쓰여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