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영양제
알약과 같은 성분으로 다른 형태의 약을 만들 수는 없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17
알약을 삼키지 못하는 환자도 있는데 왜 알약이 더 많이 시판되나요?
알약과 같은 성분으로 다른 형태의 약을 만들 때 어려운 점이 무엇인가요?
동일한 성분으로 다른 형태의 약을 만드는 것을 부르는 말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알약을 먹지 못한다면 먹기전에 빻거나 잘라서 복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약을 빻을 수는 없기에 진료를 볼 때 의사에게 알약을 먹지 못한다고 말하셔야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알약을 못삼키는 환자분들을 위해서 가루, 시럽이나 패치, 주사, 트로키 등 여러 제형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 성분들은 특수코팅을 해야해서 그게 잘 안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알약이 보관도 좋고 먹기가 편하니까요.
가루약으로 만들면 유통이나 보관, 조제 모두 어렵잖아요.
항상 건강하시길 바라고 또 궁금한점이 있으면 아하 약료게시판에 질문 남겨주세요.
추천, 좋아요 눌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정제로 만드는 것이 생산과정, 보관방법, 복용법을 복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가장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부 약물 성분은 습기에 취약하여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가루약 형태인 산제나 과립제로 만들 수 없는 성분도 있습니다.
만약 정제나 캡슐제를 복용하기 어렵다면, 병원에서 처방을 받을 때 가루약으로 요청하시면 이러한 점을 고려해 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