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해외 직구 규제의 원인이 무엇일까요?
며칠전에 해외 직구 규제를 한다는 기사를 접했습니다. 해외 직구로 별 사회적 문제도 없었던 것 같은데 갑자기 왜 규제를 한다고 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지난 5월 16일, 정부가 앞으로 우리나라의 품질인증(KC)을 받지 않은 어린이용품과 전기·생활용품 80개 품목의 직구를 금지하겠다고 했습니다. 또 KC 인증을 받았어도 유해 성분이 들어간 제품은 들여올 수 없게 하겠다고 했는데요
정부 방침이 발표된 후 육아카페, 커피·문구·오디오 동호회 등 온갖 커뮤니티 및 사람들의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야당·여당 할 것 없이 정치인들도 나서서 정부 정책을 비판하자 정부는 모든 직구를 다 금지하겠다는 뜻은 아니었다며 정책을 사실상 취소했습니다.
결론은 지금처럼 원하는 물품을 직구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 들어오는 물품들 중에서 건강에 좋지 않은 유해 물질이 다량 검출이 되는 상품들이 있다 보니 kc인증이 없으면 안된다고 해서 이슈가 되었는데 정부가 철회 했습니다
해외 직구 규제는 분별하게 커지고 있는 해외업체를 타겟으로 한 거 같습니다. 해외업체가 현재 우리나라에 아주 싼 가격으로 물건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서 우리나라는 국내 기업들이 많이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이를 제재하기 위해서 만든 게 해외 직구 규제인 거 같습니다.
국산 제품의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라고 생각합니다ㅣ. 추가적으로 안전이나 환경문제도 있을 수 있고요. 복합적이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