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경제학 용어 중에 신주인수권부사채가 무엇인가?

투자자의 입장에서 보면,

사채가 지니는 이자소득기능과 주식이 지니는 자본소득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투자의 안정성과 투기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신주인수권부사채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란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액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채권으로 주가가 행사가격보다 높아지면 주가와의 연동성이 강해지며

    주가가 행사가격보다 낮아지면 채권으로서의 이율이 중시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에 답이 다 있습니다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이자 받다가 주가 오르면 주식으로 전환해서 자본이득도 동시에 크게 얻을 수 있쬬

    기업 측면에서는 회사채는 부채인데 주식으로 변환되면 부채는 없어지고 자본으로 가니 기업도 좋겠졍!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주인사권부사채는 신주를 살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입니다.

    약속한 기간이 지나면 약속한 가격으로 약속한 신주를 매수할 수 있는 회사채로, 채권+콜옵션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채권자가 신주 인수권을 행사하면 발행자(채무자)는 약속된 가격에 약속한 수량의 주식을 판매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리 정한 가격과 수의 신주를 살 수 있는 권리가 붙은 회사채를 말한다. 신주인수권부사채권자는 일반 사채처럼 만기가 되면 이자와 원금을 받을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사측에 신주인수권을 청구할 수 있다. 투자자에게는 사채의 안정성과 주식의 투기성이 동시에 있다. 회사 입장에서는 채권자가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경우 사채는 그대로 존속하면서 주가상승에 따르는 투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분리해 양도하는 분리형과 사채와 신주인수권을 결합해서만 양도할 수 있는 비분리형으로 나뉜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경제학 용어라기 보다는 재무, 금융쪽 용어입니다. BW라고 하며 회사채의 Bond와 신주 인수권인 Warrant의 성격을 모두 가지는 금융상품으로 이러한 신종 금융상품을 메쟈닌이라고 합니다.

    투자자는 일정 조건이나 원할 때 회사채로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고 따라서 붙는 워런트를 행사해서 주식을 얻을 수도 있으며 사채와 워런트를 따로 떼어 매매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