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책을 보는게 자폐증상일 수도 있나요?
평소 아기(9개월)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자주 혼자서 책을 집어서 쳐다보기도 합니다. 당연히 글자를 읽을 줄 알아서 보는건 아닐테고 그림이나 음악소리때문에 장난감으로 여기고 보는 거 같기는 합니다.
이걸 회사 동료에게 말했더니 아기가 혼자서 책을 보는 행동이 자폐증상일 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아기때 책을 많이 보는게 안 좋은 증상인가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부모님이 걱정이 되시면 아이의 상태를 점검해 보세요. 자폐아동 판단 유무는 호명반응. 눈맞춤. 반향어. 상동행동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책을 보고 있을 때 아이의 이름을 불려보세요. 이름에 반응을 하는지 확인하세요. 그리고 엄마와 눈맞춤을 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 상동행동은 의미없는 행동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몸을 앞뒤로 흔들기. 손 비틀기 등이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반향어는 상대방의 말을 무조건 따라하는 경우인데 말을 하지 못하는 9개월인 자녀에게는 테스트할 수가 없습니다. 불안하고 걱정되실 경우 호명 반응과 눈맞춤으로 테스트해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괜한 이야기로 걱정이 되겠습니다. - 자폐의 증상은 - 눈맞춤이 좋지 못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습니다. - 또한 다른사람의 말을 반복하거나 특정 단어만을 반복합니다. - 그리고 같은 행동을 반복하기도 합니다. - 비정상적으로 무언가에 집중을 하기도 합니다. - 일상적인 일 이외의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너무 높거나 낮습니다. (특정 소리에 민감합니다) - 9개월 아이가 책을 집중해서 보는 것으로 자폐의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거나 이름을 불렀을 때 반응이 없다면 자폐증상 중 일부일 수 있지만 책을 보는 것과 자폐 증상은 무관합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 회사 동료께서 말씀 하신 것이 유사 자폐를 말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유사자폐는 생후 초기부터 증상을 보이는 선천적 자폐와 달리 부모의 양육 태도에 문제가 있을 때 서서히 나타나는 자폐 증세입니다. 처음에는 말이 늦고, 주변 사람에 부관심하거나 변화를 두려워하는 등 사소한 증상을 보이지만 방치할 경우 발달이 떨어져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생활이 불가능해집니다. 원인은 세돌 전에 부모의 사랑과 보호, 관심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 지속적인 스트레스 과도한 학습 강요 등에 노출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 하지만 책을 집중해서 본다는 것으로 자폐를 의심하는 것은 너무 성급한 관점 같습니다. 책 이외에 다른 것에도 관심을 가지고, 부모와 눈맞춤이나 상호작용이 되면서 책읽기에 관심을 가진다면 크게 걱정하 실 것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혼자서 책을 본다고 자폐증상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엄밀히 말하자면 책을 본다기보다는 그림을 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동료분의 말을 너무 의식하지마시고 아이가 자연스럽게 행동 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라며 자폐부분은 아이가 어는 정도 성장 했을때에 염려가 되신다면 병원진료를 받아보시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육아하시느라고 수고가 많으십니다. - 아기들은 장난감도 좋아 하지만 페이지 마다 색다른 동화책을 넘기며 혼잣말로 중얼중얼 거리며 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아기때 책 많이 보게 되면 상상력이 풍부해집니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글의 내용으로 봐서는 정상적인 발달, 자연스런 발달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 아이의 호명 반응이 안되거나, 상호작용이 안되면 그 땐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 대체로 부모가 부르면 호명 반응이 대체로 이뤄지지 않거나 - 상호작용도 잘 안되며, - 눈 마주침도 잘 되지 않는 등, - 눈 맞추기, 표정 제스처 사용이 현저하게 적거나 발달 수준에 적합한 또래 관계를 이어가지 못한다면, -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 보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책을 보는 현상은 자폐증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 자폐증상은 눈을 제대로 쳐다보지 못하거나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증상이 - 주된 증상인데 책을 보는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보다 정확히 확인해 - 보고 싶으시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책을 본다고 자폐증상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책을 읽는 흉내를 - 내기도 하며 그림을 보기도 합니다. - 발달과정에 별다른 특이 증상이 없다면 정상이니 걱정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은 글자를 알지 못해도 책을 보고 혼자서 웃는 경우도 많답니다 . - 글이 아닌 그림을 보고 내용을 상상하는 거지요. - 자폐일 수 있다라는 것은 말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