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빨간후투티350
빨간후투티350

경제용어 중 무어의 법칙이라는게 무슨의미인지 궁금합니다.

반도체 관련 용어 인것 같은데 무어의 법칙이라는 게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전문가님들의 자세한 설명 기다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은 인텔의 창립자 고든무어가 1965년 발견한 관찰 결과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교수 카버 미드가 발견자 고든 무어의 이름을 따 명명했습니다. 무어의 법칙은 시간이 지날 수록 수정 보완된다는 뜻으로 반도체에 집적되는 트랜지스터 수는 1~3년마다 2배이상 증가한다는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마이크로칩의 성장 속도에 대한 이론인데 18개월 마다 성능이 2배로 좋아진다는 이론입니다

    • 이는 실제로 어느정도 맞았고 오히려 이보다 빠른속도로 성장도 하고 있습니다

    • 현재의 성장속도를 유지한다면 지금의 핸드폰에 pc 3대이상의 성능도 나올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무어의 법칙에 대한 내용입니다.

    무어의 법칙이란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이 매 2년 (24개월) 마다

    2배로 증가한다는 법칙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은 1965년 인텔의 공동 창업자 고든 무어가 제안한 개념으로, 반도체 기술 발전의 속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는 "반도체 칩에 집적되는 트랜지스터 수가 약 2년마다 두 배가 되고, 이에 따라 컴퓨터의 성능이 동일한 비용으로 두 배 향상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산업에서 기술 혁신의 기준이 되어, 컴퓨팅 성능의 비약적 발전과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술적 한계와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무어의 법칙이 더 이상 과거처럼 정확히 적용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어의 법칙은 현대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기술적 목표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중요한 이론적 틀로 남아 있습니다.

  • 무어의 법칙이라는 것은 반도체 쪽에서 있는 말인데 매 2년마다 반도체 성능이 2배씩 상승한다는 말입니다 인텔에서 근무한 무어라는 사람이 한말이라고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