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진짜로독특한청개구리
진짜로독특한청개구리

사마의는 왜 배신의 아이콘이라고 불리게 되었나요? 삼국지에서...... 조조를 모셨고 그의 아들과손자까지도 계속해서 집권할 수 있게 도왔는데~~

사마의의 평가가 후대에 너무 박한거 아닌지? 그토록 참고 또 참고 인내해서 결국 삼국을 통일한 인물인데 소설 삼국지에서 제갈량에 비해 너무 이미지가 안좋은거 같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제갈량은 아둔한 군주를 모시고 끝까지 자신의 육체와 정신을 쇠진해가면서까지 나라를 위해서 애썼으나 과로사한 인물이고 사마의는 겉으로는 조조부터 삼대를 모셨지만 늘 속으로 배반의 칼을 갈았기 때문에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사마의가 아무리 조조와 조비를 위해 일했지만 배신의 상징이 된 이유는 <삼국지연의>에서 묘사 때문입니다. 즉 그는 위나라 장군으로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졌으면서도 소설에서는 제갈량에 항상 패배하고, 권력을 위해 조예를 배신하고 음모를 일삼는 인물로 표현되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