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문학 이미지
문학학문
문학 이미지
문학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11.11

소설에서 문체와 어조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소설의 구성요소중에서

문체와 어조는 그냥 보면 같은 것일 것 같은데

따로 나누어져 있더라구요


작가가 글을 쓰는 문체가

곧 글에서 나타나는 어조와 동일한 느낌인데

문체와 어조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그리고 문체는 소설의 어떤 부분에 영향을 주고

어조는 어떤 부분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체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나 크게 세가지로 구분됩니다.

    - 문학 작품에서만 사용되는 특수한 문장 표현 방식으로 문학적 언어, 시적언어

    - 어느 특정한 역사적 시기 또는 문화권에서 독특하게 사용되는 언어 체계나 표현 방식

    - 작가가 언어를 선택하고 질서화하며 배열하는 개성적인 방법을 말하는데, 소설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가공의 이야기로, 이를 충족시켜주는 것은 작가가 사용하고 있는 구어체 입니다. 소설에 있어 언어는 정보 전달 또는 진술된 의미를 가르키는 내용적 측면과 미적 자질 또는 독자의 감정적 반응을 좌우하게 되는 형식적 측면 두 요소를 지니는데 문체는 후자 입니다.

    소설에서 문체는 작가 정신과 기법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문장과 달리 작가의 기질과 정신 세계에 깊이 관계되어있는 작가의 인생관이라 할수있습니다. 또한 제재를 구체적으로 형성화하여 주제를 암시하는 방편이므로 소설을 소설되게 하는 중요한 형태적 요소 입니다.

    어조는 작품에 나타나는 작가의 태도로 즉 인물이나 소재 혹은 독자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말하며 작가는 한 인물에 대해 동정적인 태도를 보일수 있고, 냉소적인 태도를 보일수 있으며 이러한 작가의 태도가 어조 입니다. 즉 소설에서 언어의 기교적인 배열로 인해 전달되는 화자의 정서적 태도와 느낌, 문학 작품에서 언어에 의해 나타나는 분위기를 의미합니다.

    소설에서 어조는 문체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 문체가 수단으로, 어조가 목적으로 취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