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4.04.10

신라의 유리이사금 때 만들어졌다는 가배풍습이란 무엇인가요?

신라의 유리이사금 때 가배풍습이 만들어졌고

이게 추석의 기원이다는 말들도 있던데

유리왕 때 만들어진 가배풍습은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인가요?

가배풍습이 생긴 이유, 가배풍습으로 이루고자 했던 목적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배는 잔치에서 술잔을 돌려주는 것을 의미하며, 풍습은 관습이나 습관을 뜻합니다. 따라서 가배풍습은 잔치에서 술잔을 돌려주는 관습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유리이사금은 신라 23대 왕으로, 풍요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습니다. 그의 치세에는 백성들의 삶이 안정되고 풍요로워졌으며, 이러한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잔치 문화가 발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승부를 가리던 '길쌈놀이'를 뜻하는 '가배'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합니다.

    신라시대 때는 지금의 추석이 있는 시기에 길쌈놀이를 벌여 부녀자들이 베틀로 베를 짜고 품질에 따라 승패를 가르면서 패자는 승자팀에게 후한 음식과 술을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신라시대 길쌈대회에서,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게 되므로 ‘갚는다’는 뜻에서 나왔을 것으로 유추하기도 합니다.
    진 편이 이긴 편에 베푸는 잔치나 놀이로서 갚는다는 뜻에서 ‘갑다'의 전성명사인 ‘가뵈’가 ‘가위’로 된 것이라는 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