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겨울잠을자는곰
겨울잠을자는곰
24.09.16

미결제약정수량을 구하는 공식이 있나요?

선물 거래시 남는 미체결 수량을 미결제약정수량이라고 하는데 구할 때 너무 헷갈립니다. 딱 떨어지게 나오는 공식이 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9.16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결제약정수량은 선물 계약에서 아직 청산되지 않은 총 계약 수를 말하며, 딱 떨어지는 공식보다는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확인됩니다.

    간단히 말해, 새로운 매수나 매도 계약이 체결될 때마다 미결제약정수량이 증가하고, 반대로 기존 계약이 청산될 때마다 감소합니다.

    따라서 미결제약정수량은 새로운 계약의 추가와 청산된 계약의 차이를 반영해 매일 변동됩니다. 이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미결제약정 데이터를 참고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결제약정수량을 구하는 정확한 공식은 없지만, 선물 거래의 특성을 이해하면 계산 방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미결제약정수량은 현재 시장에 존재하는 미청산 계약의 총량을 나타내며, 매수 포지션과 매도 포지션의 합계로 표현됩니다.

    미결제약정수량의 변화는 신규 거래와 청산 거래에 따라 결정됩니다. 신규 매수와 신규 매도가 발생하면 미결제약정수량이 증가하고, 반대로 기존 포지션을 청산하면 미결제약정수량이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A가 50계약을 신규 매수하고 B가 50계약을 신규 매도하면 미결제약정수량은 50계약 증가합니다. 반면, C가 기존에 보유한 30계약을 청산하면 미결제약정수량은 30계약 감소합니다.

    미결제약정수량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공식 데이터를 참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개별 투자자가 전체 시장의 미결제약정수량을 직접 계산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대신 거래량과 미결제약정수량의 변화를 함께 분석하면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미결제약정수량도 함께 증가한다면 새로운 자금이 시장에 유입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시장에서 자금이 이탈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