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경쟁 부족이 왜 가격 상승을 유발하나요?

경쟁 부족이 왜 가격 상승을 유발하나요..?

경쟁이 적으면 그만큼 수요가 적으니까(인기가 없어서) 가격이 하락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대용 경제전문가
      김대용 경제전문가
      나눔공인중개사사무소

      경쟁은 공급자 간의 경쟁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공급자 간의 경쟁이 부족하다면 그건 독·과점을 뜻합니다.

      수요는 변함이 없는데 공급자가 적기 때문에 소비자보다는 공급자의 영향력이 더 커지게 됩니다.

      소수의 공급자가 서로 결탁하여 담합해도 소비자는 그 물건이 꼭 필요하니 높아진 가격을 수용하고 물건을 구매하겠지요.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쟁을 할 필요가 없는 독점기업은 장기에도 신규기업들의 진입이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평균비용극소화 생산량보다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공급하여 독점이윤을 얻을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을 올려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쟁 부족이라는 것은 '공급자'의 수가 적은 '독과점' 시장 혹은 '독점'시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말인데요.

      아마 질문자님께서는 경쟁부족이라는 단어가 '수요자'입장에서 말씀주신 것 같아서 경쟁 부족이 오히려 가격이 하락하는 것으로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 대한 경쟁이 부족하다는 것은 처음 말씀드린대로 '공급자'입장에서 표현하는 단어이며 이러한 시장을 '독점'시장 혹은 '독과점'시장이라고 하는데, 독점이나 독과점의 경우는 생산자가 가격을 올리더라도 소비자는 올라간 가격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시장을 의미하게 됩니다. 소비자가 다른 대체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자는 가격을 원하는대로 올릴 수 있게 되는 구조라서 경쟁 부족이 가격 상승을 유발하게 된다는 말을 하게 됩니다.

      예시를 들게 되면 우리 데이터망과 핸드폰 유선통화 산업의 경우 KT와 SKT만이 존재하면서 공급 가격이 매우 비싸게 책정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추가적인 사업자 LG를 넣게 되면서 LG의 유선통화비가 SKT의 반값으로 공급되면서 SKT의 통화요금도 매우 내려가는 효과를 보게 되었습니다. 즉, 경쟁자가 많아질수록 공급자는 그 시장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가격경쟁을 시작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소비자들은 선택의 기회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