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기독교 신자들은 전도를 할까요?
기독교신자들이 전도를 되게 열심히 합니다. 왜 그런거죠? 본인이 마음맞고 잘 믿으면 되는데 왜 꼭 다른사람까지 믿으라고 얘기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 마태복음 28장 19절 ~20절
하나님께서 전도와 선교의 명을 내렸다는 성경의 문구때문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나님의 지혜에 있어서는 이 세상이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므로 하나님께서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셨도다
바로 이 '전도의 미련한 방법'이 필요한 사람이 있다는 겁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든 종교는 현실적 상황을 고통으로 보고 구원을 받아 이상적 상황인 천국 즉 절대자유와 평화의 경지로 봅니다. 타 종교보다 기독교에서는 전도를 많이 해야 천국에 간다고 보았기때문에 전도에 힘을 쏟고 있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경에 땅끝까지 복음을 전파하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은 항상 전도를 하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교(宣敎)라고도 한다. 믿지 않는 사람에게 신앙의 길을 제시하여 개종을 촉구하는 것을 전도라고 하며, 그 중심에는 예언자나 신도, 선교사가 대신하여 신의 말씀을 권위를 가지고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선교가 있다. 전도는 기독교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이슬람교나 불교에도 인정되는 곳이 있지만 기독교에서의 전도의 특징은 전도의 최종 목표를 전세계의 만물을 통합하는 것에 둠으로써 지구 규모의 ‘세계’ 개념을 실질화하는 힘이 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2개의 종교에는 ‘세계’ 개념이 상대적으로 좁게 한정되어 있다.
비기독교 지역에 대한 전도는 기독교단의 실질적 창설자라고 할 수 있는 바울(Paulos)이 시작 하였다. 그는 ‘이방인’에 대한 선교 전도를 기독교의 교의라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근세 이전의 비유럽 세계에 대한 전도는 산발적이었다. 고대에서 중세까지의 전도활동은 오히려 유럽세계 내에서 이루어져 11세기말까지 기독교는 유럽의 구석구석까지 침투되었다. 그것은 로마교회의 권위가 유럽 전체에 미친 것이며 유럽세계(기독교세계)가 확립되기 시작한 것이기도 하다.
이 세계는 이슬람교 세계를 외부의 위협으로 안고 있었지만 그것은 다른 한편으로 비유럽 세계에 대한 관심을 기독교 세계 속에 심화시키게 된다. 이리하여 대항해시대가 시작되어 1492년에 아메리카대륙이 ‘발견`되자 스페인의 가톨릭 수도회에 의해 신속한 포교 개종이 신대륙에 전개되었다.
이 시기는 세계의 서쪽 끝에 있는 후진의 유럽이 기타의 지역을 지배하여 세계의 패권을 획득한 ‘세계 시스템’의 실현의 시작이었지만 종교개혁이 일어난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것은 프로테스탄트에 의한 가톨릭교회에 대한 비판에 그치지 않고 신흥 국민국가에 의한 로마교회의 패권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였다. 17세기에 들어 시민혁명을 일찍이 달성한 영국과 네덜란드라는 프로테스탄트 국가에 유럽의 중심(세계의 패권)이 옮겨 졌으며 또한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근대 국민 국가가 세력을 신장한다. 거기에서는 정교분리가 절대적 원칙으로 로마교회를 정점으로 한 지배체제는 종말을 고한다. 가톨릭교회는 국민국가 속에서 정치적 권력에 굴복하여 종속하는 형태가 되었다. 이것에 대해 국민국가에 익숙한 프로테스탄트가 기독교 세계의 중심이 된다. 이리하여 18세기말부터 영국을 효시로 국가의 이해와 밀접하게 결부된 프로테스탄트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전도의 신시대가 돌입한다. 한편, 한 번은 중단 되었던 가톨릭 미션도 19세기초에 재건이 진행되지만 그것은 국가라는 후원자를 갖지 않은 정치가 빠진 종교라는 기성 종교가 경험한 적이 없는 형태의 재출발이었다.
이와 같이 기독교의 전도는 정치와 종교, 교회와 국가, 특히 세계 시스템과 근대 국민국가라는 유럽사의 주제로 이어지게 된다.
출처 :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