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영양제
항콜린제에 대해서 공부하는데 헷갈려요!!
나이
26
성별
남성
항콜린제가 부교감신경물질인 아세틸콜린을 억제한다고하는데
그러면 아세틸콜린의 작용이 사람의 안정과 휴식, 심박수 정상화 등을 한다고 하는데
왜 항콜린제의 작용은 집중과 기억력 감소, 위운동 감소, 동공확장 등의 작용을 하는지 모르겠어요
항이니까 부교감신경의 반대기능을 생각하면
심박수 증가, 위운동 증가 등이 해당하지 않나 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부교감신경이 자극되면 아세틸콜린이 분비되고, 이는 몸을 편안하고 안정화 시킨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쉽게 생각하면 항콜린제는 부교감신경이 자극되지 않게, 교감신경이 자극되는 것과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는데
교감신경이 자극된다는 것은 몸이 소화기관의 혈류량이 감소하고 근육쪽의 혈류량이 증가하는 등,
몸이 전투태세가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장운동이 저하되고, 동공은 확장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소화기에서는 콜린이 위장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위장운동은 감소쪽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심박수증가는 맞습니다. 항콜린제 부작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