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우리나라도 미국도 잡질 못하고 있는데
어제 한국은행에서 나온
벌써 두 번째
금리동결 뉴스가 전 충격으로 느껴집니다..
현재 물가가 상승중이며
원유가 감산중이며 가스 전기등 가격 상승이 대기중인데
어떻게 금리가 동결될수 있는지에.대해 충격입니다..
물가상승을 방치하겠다는 듯이 느껴집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아무리 돈을 벌어도 돈을 번게 아닌상태라 뭘해야할지 둘러봅니다
물가상승시기에 은행에 있는 현금은 점점
그 가치가 떨어져 고민에 빠져있습니다...
물가가 계속 오를텐데
최소한 현금재산 방어를 위해 뭘해야할까?
요새 인기많은 금?? 주식? 코인?? 환율투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물가상승시기에
저축한 예금을 어디다 묻어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은 국가가 경제성장을 하는 과정에서는 통화팽창이 발생하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율이 어느정도 수준인지에 따라서 그 대응이 달라지게 됩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을 만들어내는 원인이 금리이다보니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하기전 금리 수준을 보시면서 투자를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은 인플레이션이 높아 고금리를 통해 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시장이기에 이후의 경제상황은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시기는 인플레이션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시장이다보니 주식이 바닥에 가까운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지금은 주식에 대한 분할 매수관점이 유효하지만 바닥은 모르기에 꼭 분할 매수로 접근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특정 금융상품을 추천해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아무래도 미국 또한 금리가 베이비스텝 내지 동결 분위기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이제 급격한 금리인상시기는 끝났다는 말이 지배적인 분위기니
여러자산에 대하여 공부를 하시고 결정하셔야 할 부분입니다.
금리인하기에 분명 각광받는 투자상품이 있고 대표적으로는 채권이나 공부를 하시고선
투자를 하셔야 하며 이 글은 투자 추천글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안정적인 물가상승은 경제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지만, 현재의 물가수준은 이를 뛰어넘어 경기침체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지금처럼 매크로경제의 전망이 쉽지 않을 때에는 분산투자전략이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는데요, 시장이 항상 우리가 예상한 대로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시장을 보수적으로 예상하고 대비하되, 호전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자산을 배분하고 변화를 지켜보면서 대응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부동산, 주식과 채권, 부동산·리츠, 금, 원자재 등 자산을 분산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변화 추이를 지켜보면서 비중조절을 해 나가는 보수적인 투자전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투자방법입니다.
첫번째는 부동산입니다.
부동산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높아지고 임대소득 창출도 가능해 인기 있는 선택지입니다. 물가상승으로 부동산 가치가 오르는 만큼 임차인이 임대료로 내는 금액도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상품(현물) 투자입니다.
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등 통화가치에 문제가 생길 때 투자자들은 유형자산으로 눈을 돌릴 수 있습니다. 수세기 동안 금은 금속현물 중에서 최우선 투자처였습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때 금을 자주 찾는 경향이 있어 이 시기에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주식과 채권입니다.
그러나 일반 기업의 주식은 아닙니다. 인플레이션에 보조를 맞출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주식도 있지만, 모두 똑같지는 않습니다. 주로 안정적인 배당을 주는 우량주의 주식과 채권에 투자를 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한 측면에서는 경기회복을 뜻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뒷받침돼야 할 조건은 완만한 인플레이션 속도가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을 바라보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자산관리가 중요할 것입니다. 시장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이며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