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 채굴은 무엇인가요?
블록체인기술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건가요?
코인을하고있으면서도 채굴한다고 들었는데
컴퓨터로 어쩌구저쩌구 쉽게 설명이
와닿지않아요
궁금합니다
초등학생이라생각하고 쉽게좀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블록체인 지식 답변자 입니다. - 블록 체인은 데이터를 P2P 방식으로 저장하여 위변조를 어렵게 하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컴퓨터 기술 입니다. 다만 P2P 방식으로 원장을 관리하다 보니 많은 사용자의 참여가 필요하고 이를 채굴이라는 과정으로 기록하게 됩니다. 그리고 채굴을 하는 사람들 즉 원장과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일정한 보상인 코인이나 토큰을 지급하는 것 입니다. 아하 서비스의 경우 지식 공유의 대가로 아하 토큰을 발급하고 있습니다. - 또한 토렌트의 경우 블록체인과 비슷하게 시드라는 것을 통해 자료를 보관하고 있죠. 
- 블록체인을 아주아주 간단하게 보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의 기술로 볼수 있습니다. - 한번 저장된 데이터는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 중앙의 서버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채굴하는 모든 컴퓨터에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이 됩니다. -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 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를 사용하는 여러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블록체인의 경우 데이터를 모아서 하나의 블록으로 만듭니다. - 블록을 만들어서 유일한 값을 하나를 찾습니다. (이게 채굴입니다.) - 유일한 값을 다음 블록을 생성할때 데이터로 추가 하게 됩니다. - 그렇다보니 중간에 데이터를 하나 해킹을 하려고 한다면 유일한 값이 바뀌게 되고 이후에 생성된 모든 블록의 데이터가 맞지가 않습니다. - 이후 데이터를 다 조작된 데이터로 변경을 해야하는데 블록체인마다 다르지만 길게는 10분에서 수초마다 하나의 블록이 생성이 되는데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해킹된 블록을 생성을 해야합니다. - 현재까지는 이러한 속도를 가진 컴퓨터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렇다보니 해킹이 어렵다고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A-HA 블록체인 전문가입니다. -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보안 기술입니다. 충분히 신뢰할 수 있고, 상용화 되고 있습니다. 해킹과 위조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기술에 대한 미래에 대한 기대감도 매우 높은 편인데요. 국내에서도 꾸준하게 유망 기술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블록체인을 이해 하시려면 단어를 분리해 블록과 체인을 먼저 이해하시는게 좋습니다. - 블록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체인은 이 공간을 체인처럼 연결한다는 의미입니다. - 이 연결은 해쉬 코드라는 복잡한 코드로 연결되어 있고 이렇게 체인처럼 연결된 블록은 여러 사람에게 공유가 되어 있죠. - 이렇게 공유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장한다는게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입니다. - 지금까지는 하나의 서버에 데이터를 보관하기 때문에 해킹과 위조의 위험이 있었다면, 블록체인은 위조를 위해선 모든 공유자의 블록을 변경해야 하는거죠. - 하지만 위조를 하는 순간에도 새로운 불록과 체인 연결이 생성되기 때문에 수십 수만명의 블록을 모두 찾아 위조하기는 불가능합니다. - 바로 이게 블록체인 기술의 기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이렇게 여러사람이 이용하는 공유 플랫폼이 기반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참여자를 모아야하는데요. - 바로 이 참여자에게 주어지는 보상이 코인이고, 비트코인은 코인중 하나입니다. - 이렇게 플랫폼에 참여해 코인을 모으는걸 채굴이라고 합니다. - 이렇게 블록체인은 기본적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의 공유를 기반으로 합니다. - 예를 들면 지금은 은행의 거래 정보, 개인의 생체 인증 정보, 상품의 물류 정보 등을 서버에 관리하고 있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신뢰성도 높아지고 빠른 공유가 가능하게 되죠. - 그렇게 되면 상품의 위조/복제 여부 확인을 비롯해 인증 시스템의 통합, 그리고 의료 정보의 빠른 공유로 더 적잘한 치료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현재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미래에는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