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임진왜란 당시에 육군은 왜 해군보다 고전하게 된 건가요?

임진왜란 당시에 여러 계층에서 활약을 하여 왜군을 물리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임진왜란하면 이순신 장군과 해군의 활약이 떠오르고 육군은 고전했다는 생각이 많이 드는데요. 임진왜란 당시에 육군은 왜 해군보다 고전하게 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본 육군은 전국시대 내내 실전 경함이 쌓으며 전투력과 조직력이 매우 성장했습니다. 게다가 조총을 도입하여 화력을 높였습니다. 이에 대응하여야할 조선의 육군은 오랜 평화로 훈련과 대비가 소홀했습니다. 반면 수군은 왜구 방어 경험을 바탕으로 강한 조직력과 화력을 갖추었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뛰어난 전략, 전술이 더해져 해상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육군이 해군보다 훨씬 고전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왜군이 조선의 육군보다 전술과 무기에서 우위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왜군은 실전 경험이 풍부한 사무라이 중심의 병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를 거치며 화승총 중심의 전술을 이미 체계화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조선 육군은 주로 활과 창 중심의 전통적 무기를 사용했고, 화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훈련도 부족했고, 실전 감각도 크게 떨어져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임진왜란 이전, 조선은 오랫동안 전란이 없는 평화기를 보내면서 군사 체제가 유명무실해졌습니다.

    그러면서 군역 회피, 병농일치 체제 약화, 훈련 부족 등으로 실질적인 전투력이 매우 낮았습니다.

    또한 중앙군(5위)과 지방군이 형식적이었고, 군 장비와 병력 동원 체계도 허술해서 왜군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