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10.29

유산소 운동과 근력의 관계는?

음.. 이게 사실일지 궁굼해서 문의드립니다

보통 근력을 운동하는 사람은 무산소 운돈을

살을 빼는 사람은 유산소 운동을 먼저 시작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유산소 운동은 좋은걸로 아는데

근력이 많은 사람들은 유산소 운동을 얼마 안하는것 같던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강렬한펭귄143
    강렬한펭귄14320.10.31

    사람의 몸은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여 대응합니다. 운동도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됩니다.

    유산소 운동을 할 경우, 근력 보다는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근력에 아무 도움이 안되는 것은아닙니다. 하지만,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에 상대적으로 더 큰 도움을 주는것이죠.

    근력을 기르는 사람들도 유산소 운동을 조금씩은 하지만 근력과 근지구력에 도움을 주는 무산소 운동을 더 집중적으로 하는것이죠. 여기서도 세부적으로는 세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힘의 세기(스트렝스), 근 지구력(, 근육의 부피(웨이트닝) 이렇게 나뉘죠. 이 세 분류는 무게와 횟수로 대략적으로 구분이 됩니다.

    정리하면,

    무산소 운동

    - 높은 강도, 매우 적은 횟수 --> 근력

    -적당한 강도, 적당한 횟수 --> 근육의 부피

    -낮은 강도, 조금 많은 횟수 --> 근지구력

    유산소 운동

    -매우 낮은 강도, 많은 횟수(또는 시간) --> 심폐지구력

    그렇다고 유산소 운동이 근력에 아무 도움이 안되고, 무산소 운동이 심폐지구력에 아무 도움이 안되는 것이 압니다. 적게 될뿐!

    본인의 상황과 원하는 효과 ( 마라톤 선수 같은 경우는 당연하게도 유산소 운동인 달리기를 열심히 하겠죠? 하지만 달리기도 100m 달리기 처럼 강도를 높이는 경우 무산소 운동이 됩니다. 100m 단거리 선수와 마라톤 선수들의 몸을 비교해보면 100m 선수는 근육이 굉장히 많습니다. 마라톤 선수는 상대적으로 근육은 적지만 그만큼 오래 잘 달리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