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23.02.28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마다 경제 위기가 발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흔히 마천루의 저주라고 불리는 고층건물을 짓는 사례에서 경제위기가 온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각 나라에서는 초고층건물을 짓는 이유와 경제와의 연광성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고층 빌딩이라고도 불리는 고층 건물의 건설은 한 국가의 경제력과 발전의 상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무실 및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 증가를 수용하고 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주요 도시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초고층 빌딩의 저주는 기록적인 초고층 건물의 건설이 금융 위기 또는 경기 침체와 일치한다는 관찰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역사를 통틀어 미국과 다른 국가에서 관찰되었습니다.

    마천루의 저주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이 있습니다. 한 가지 이론은 이러한 건물의 건설은 종종 과도한 차입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결국 터지는 금융 거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이론은 사무실 공간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경제 호황기에 지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건물의 건설은 비즈니스 사이클의 정점을 나타냅니다. 결과적으로 초고층 빌딩 건설은 불황이 무르익은 경기 과열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잠재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에서는 경제 성장과 번영의 상징으로 고층 빌딩을 계속 건설하고 있습니다. 사무실과 주거 공간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고층 건물은 임대료와 관광을 통해 상당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국가의 발전을 보여주는 방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고층 건물을 짓는 것과 경제 위기가 발생하는 것에는 큰 연관성이 없으며, 다만 연관성을 굳이 짓는다면 고층 빌딩이 올라가는 시기는 보통 '경제가 가장 정점'인 시기에 이런 건물을 짓다보니 경제의 정점이 지나고 하락하게 되면서 마천루의 저주와 같은 말들이 나오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는 경제 사이클 상 당연히 경제가 무너지는 수순이 발생하는 상황이었는데, 이러한 고층 빌딩이 지어지는 시기가 보통 정점 시기이다 보니 시기상 맞아 떨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층건물과 같은 경우에는 좁은 땅에 높이 지음으로써

    경제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지나치게 높은 토지의 가격 등을 절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공간활용성이 높아지는 등 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