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2

조선의 세번째 임금인 태종 이방원은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하였는데 어떤 정책을 펼쳐서 왕권을 강화시켰는지 궁금합니다.

조선의 세번째 임금인 태종 이방원은 조선의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하였는데 어떤 정책을 펼쳐서 왕권을 강화시켰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2.22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은 왕권을 약화시키는 요인은 공신과 외척이라는 것을 알고 왕자의 난과 여러 전투에서 생사고락을 함께한 처남 민무구, 민무질 형제를 죽이고 공신들은 죽거나, 귀향보내고 외척세력들도 죽거나 귀향을 보내게 됩니다.

    남은 공신들도 모두 은퇴시켜 완권을 견제할 세력이 거의 전무하게 됩니다.

    태조 이방원은 의정부와 6조 체제와 사헌부, 사간원, 승정원 등을 설치하면서 왕의 업무와 신하의 업무를 구분하고 배분함으로 왕권과 중앙집권체제를 더욱 강화했습니다.

    군사력으로는 1404년 응양위 설치, 1407년 내상직을 내금위로 조직하여 태종이 가장 신임하는 인물들만 이곳 소속이 되었으며 1409년 내시위를 설치하고 10사를 시위사로 개편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의정부(신권을 대표하는 기관)의 권한을 약화시켰으며, 사실상의 외척세력인 민씨들을 다 제거함으로써, 추후 즉위할 임금이 외척에게 휘둘리는 것을 막은 것이 가장 큰 업적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 이걸 안했었으면 세종대왕이 그만한 업적을 남기기 어려웠을지도 모릅니다. ] 그 외에도 호패법의 실시, 4군 6진의 개척 시작 등의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종은 우선 호족 들의 사병을 모두 없애 군사권을 왕에게 집중시키고, 본인의 외척인 민씨 일가부터 시작해 외척 세력을 제거하였다고 합니다. 통치 제도를 고쳐 의정부를 설치하고, 6조 중심의 정치 제도를 마련하였다고 하지요. 이러한 정책들을 통해 왕권 강화를 이루어 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종 이방원은 조선 중기의 왕으로, 1400년대 말부터 1400년대 초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조선 왕조를 다스렸습니다. 그는 당시 정치적으로 분열된 상황을 정돈하고, 왕권을 강화하여 조선 왕조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펼쳤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조법 개정: 태종은 영조법을 개정하여 지방 관리의 재정, 군역, 감염병 등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조직을 강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지방 강력을 강화하고 왕권을 더욱 강화시켰습니다.

    2. 관료 제도 개혁: 태종은 기존의 관료 제도를 개혁하여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노론을 대거 등용하고, 이를 통해 지방 관리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일부 중요한 관직에는 왕의 친족이 임명되어 왕의 권위를 높였습니다.

    3. 대화전: 태종은 대화전을 전개하여 군대의 강화와 함께 전투력을 강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중국과의 군사적 대립을 이겨내고 국력을 다지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와 같은 정책들을 통해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고, 지방 관리와 군사력을 강화하여 조선 왕조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그 후의 세조와 세종 등 조선 왕조의 왕들에게 계승되어 조선 왕조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