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왜 금매입을 늘리지 않고 있나요?
금은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각 국가의 중앙은행은 금을 꾸준히 매입하는데요. 한국은행은 외화 보유 순위에 비해서 금이 굉장히 적다고 하던데 왜 이런 비중을 유지하나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 보유량을 늘리지 않는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과거 투자 실패 이후 금 투자에 신중해졌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국은행은 김중수 전 총재 시절인 2011~2013년 총 90t의 금을 매입했다. 유럽재정 위기로 금값이 치솟자 “한국은행도 금 투자를 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진 데 따른 결정이었다. 당시 금값은 온스당 1200달러에서 1900달러로 뛰었다.문제는 한국은행이 금을 사들인 직후 금값이 떨어지면서 ‘실패한 투자’라는 비판을 받았다. 금값이 고점일 때 금을 집중적으로 사들였다가 손실을 본 뒤로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은 10년간 제자리 걸음이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외자운용원 관계자에 따르면 금은 이자가 붙지 않는 무수익 자산이라서 자산 배분 차원에서 금 매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금은 미국 국채 대비 투자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미국 국채 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과 같은 경우에는
과거 금을 상당수 투자하면서
실패한 투자라고 비판받는 등 이에 따라서
신중한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금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보지 있어서 금 보유량 보다는 달러 보유고를 늘리는데 집중을 하고 있다 보니 금 보유량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뒤쳐지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어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매입을 늘리면 금 시장의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으며, 금값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 금매입을 늘리면 통화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