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행복하세요
행복하세요

금융권에서 기저효과란 단어를 사용하던데 기조효과란 뭔가요?

언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저효과라는 단어가 궁금합니다. 한국은행이 기저효과로 어떻게 했더라 등 금융권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것 같은데 기저효과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와 같은 경우에는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저의 기는 기초할 때 저는 밑, 바닥을 말합니다. 그래서 비교하는 기초로 깔린 데이터가 낮거나 밑이라서 상대적으로 지금의 데이터가 높이보이는 걸 말합니다.

  • 기저효과(Base Effect)는 경제나 금융 분석에서 전년도 또는 이전 기간의 지표가 현재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전년도의 경제 지표가 매우 낮거나 높았을 경우, 올해의 지표가 같은 변화율이라도 크게 보이거나 작게 보일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저효과를 언급할 때는, 전년도 상황에 비추어 현재의 경제 상황이나 수치를 분석할 때 이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저 효과란 경제 관련 지표들의 기준점에 의한 착시효과입니다.

    2022년 성장률 3%

    2023년 성장률 5%

    2024년 성장률 4%

    라면, 2024년은 최근 3년 평균치 수준의 성적이지만,

    전년대비 20% 하락한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보는것과 같습니다.

  • 기저효과라는 말은 예를들어 올해 2분기 기업의 매출이 10억원입니다. 그리고 보통 10억원 수준입니다.

    작년 2분기에는 장사가 안되서 매출이 2억원입니다.

    그러면 이번에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매출이 10억원인데 전년동기 실적이 부진해서 기저효과로 인해 큰상승을 했다라고 표현할수있습니다.

    비교대상이 되는 기준이 낮아서 지금 수치가 높아보이는 효과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호황기의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 상황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기저효과란 경제 지표의 증가율을 해석할 때 비교 대상 시점의 상황에 따라 착시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경제 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 시점의 상황 때문에 경제 변동이나 성장률 등이 실제보다 부풀려지거나 축소되어 보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융권에서 기저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저효과란 직전년도 혹은 직전분기의 실적이 너무 나빠서

    이번 분기의 실적이 평소보다 저조하지만 직전분기, 직전년도와 비교하게 되면

    좋은 결과처럼 보이는 것을 기저효과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용어 기저효과란 특정 시점의 경제상황을 평가할 때 비교의 기준으로 삼는 시점에 따라 주어진 경제상황을 달리 해석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