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7.28

초창기때 무성영화는 어떤 영화였나요?

영화의 초창기에는 무성영화라고 하더군요 무성영화는 말그대로 소리가 안나오는것을 이야기 하나요? 오늘날의 영화를 보면 전혀 감이 안잡히네요. 무성영화는 어떤영화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5년 프랑스 파리에서 뤼미에르 형제에 의해

    시네마토그래프가 공개된 것을 영화의 시발점이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카메라인 동시에 영사기도 되는 기계로 각 사진이 초당 16장의 속도로 화면에 비춰지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시네마토그라프의 제작은 몽플레지르 공장에서 “최고의 기계공”이란 찬사를 받고 있었던 샤를 무아송(Charles Moisson)이 맡았다. 결국 1895년 2월 13일에는 뤼미에르 형제의 이름으로 시네마토그라프에 대한 특허가 등록되었습니다. 영화를 뜻하는 ‘시네마(cinema)’라는 단어도 시네마토그라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무성영화는 말 그대로 소리가 나지 않는 영화입니다. 무성영화는 영화의 초창기인 189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유행했습니다. 무성영화는 소리가 없기 때문에, 배우들은 표정과 몸짓으로 감정을 표현해야 했습니다. 또한, 무성영화는 음악과 자막을 통해서 분위기를 전달했습니다.

    무성영화는 오늘날의 영화와는 많이 다릅니다. 오늘날의 영화는 소리, 영상, 특수효과 등이 매우 뛰어납니다. 하지만, 무성영화는 그만의 독특한 매력이 있습니다. 무성영화는 배우들의 표정과 몸짓을 통해서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에, 오늘날의 영화보다 더 감동적이고, 더 인상적일 수 있습니다.

    무성영화는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무성영화는 영화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무성영화를 통해서 영화의 초창기 모습을 볼 수 있고, 영화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성영화는 토키(음향이 일치하는 영화. 최초의 유성 영화 <재즈 싱어>)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유행했던 영화였습니다. 그 당시 기술적 한계로 인해서 소리를 녹음하고 동영상과 동기화할 수 없었습니다.

    대표적인 무성영화들을 올려드리겠습니다. 정말 좋은 작품들입니다. 물론 무성영화라서 영어 자막들이 나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LVChRVfZ74

    조르주 멜리에스 <달세계 여행>

    https://www.youtube.com/watch?v=TkF1we_DeCQ

    찰리 채플린 <시티 라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cB7gd_t6WMQ

    루이스 부뉴엘 <안달루시아의 개>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성영화는 소리, 특히 등장인물의 음성 대사 없이 영상으로만 된 영화를 뜻합니다.

    음악이 필요할때 근처에서 악기를 연주해 넣었으며, 고급 극장에는 기본적으로 오르간이 구비, 영화 상영 내내 오르간을 연주했습니다.

    변사가 설명과 대사를 읊기도 했습니다., 서양에는 변사가 없었고 키노드라마, 연쇄극이라 하여 연극 중간에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대사가 필요할 때 검은 화면에 자막을 띄워 정보를 전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