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노련한이구아나284
노련한이구아나284
22.01.19

임플란트시에 뼈이식은 왜 하는건가요?

임플란트를 할때 뼈이식을 하는 사람이있고 안하는 사람이있는데 차이점은 무엇이고

뼈이식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뼈이식은 어떻게 진행이되며 그로인한 효과가 궁금햐서 질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종열 치과의사blue-check
    박종열 치과의사
    22.01.20

    안녕하세요. 박종열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 심을 위치에 잔존골이 충분하다면 골이식을 할 필요가 없지만

    부족하다면 충분한 골양을 만들기 위해 골이식을 시행하게 됩니다.

    동종골 합성골 이종골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를 이용해 잔존골에 생착을 유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보통 뼈가 부족한경우 뼈이식을 하게됩니다.

    상악의 경우 상악동이 있어서, 여기에 뼈를 만들어야 하는경우가 흔하게 있습니다.

    또는 이를 뺀지 너무 오래되어 뼈가 얇은 경우에도 뼈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빼고 바로 임플란트를 심는경우에도 뼈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뼈는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이 있습니다.

    뼈이식은 뼈만 이식할 수 도 있고, 차폐막을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뼈가 잘 된다면 임플란트를 뼈로 감싸는 효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는 뼈에 구멍을 내서 뿌리역할을 하는 임플란트라는 나사못같은 걸 심는 수술입니다.

    그런데 남아있는 뼈가 충분하다면 문제가 없지만 뼈가 부족하다면 임플란트를 심을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부족한 뼈를 만들어서 임플란트를 심는것입니다.

    뼈이식수술은 부족한 부위에 자가골이나 인조골등을 넣어서 뼈로 만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는 뼈속에 임플란트 뿌리에 해당하는 부위를 심는 것입니다.

    따라서 뼈가 모자라는 경우 임플란트가 뼈속에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모자라는 부위를 보충하기 위해 인조뼈나, 자기뼈를 이용하여

    뼈이식을 합니다. 뼈이식을 하면 점차 이식한 뼈가 정상적인 뼈조직으로 대체 되어 정상적인 뼈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의해서 잘 지지가 되어야 튼튼하게 기능을 할수 있습니다.

    이 잇몸뼈의 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잇몸뼈가 추가 적으로 형성될수 있도록 골이식을 하는 경우도 있어요.

    골이식을 하게 되면 임플란트 뿌리 주변의 골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임플란트가 교합력에 버틸수 있는 힘이 높아 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잇몸뼈가 필요합니다.

    잇몸뼈 안에 구조물을 식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없으며, 때문에 뼈이식을 통해 부족한 잇몸뼈가 형성되도록 유도하게 됩니다.

    뼈이식에는 자가골, 이종골, 합성골 등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해서 구멍이 파진곡에 나무를 심을려고 하는데 그대로 심어 놓으면 나무가 제대로 고정이되질 않겟죠? 나무와 구멍사이의 갭을 흙으로 메꿔야 나무가 고정도 잘되고 영양분을 흙에서 잘 전달받겟죠. 이 원리와비슷합니다. 치아가 빠진 공간을 인공뼈로 채워주면서 갭을 메꿔서 임플란트가 자리잡을수 있도록 도와주는거죠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없을 경우에 뼈이식을 하게 됩니다.

    즉 발치 이후에 치조골이 충분히 남아 있다면 치조골 이식을 하지 않아도 되나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치조골 자체가 부족하게 되면 뼈이식을 하셔야지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즉 임플란트 식립 여부에 따라서 치조골 이식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치조골에는 자가골,이종골 등이 있으며 이 보통은 자가골보다는 이종골로 이식을 하게 되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뼈와 붙게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 시술시 골폭이나 골높이가 부족한 경우 골이식을 시행합니다.

    골폭이나 골높이가 충분하면 골이식이 필요없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에 의해 골이 흡수되므로 대체로 골이식을 해주는 것이 향후 임플란트 수명이나 예후에 더 좋은 것도 사실입니다.

    골폭은 증가시키는 것이 흔히 말하는 골이식이며, 골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상악동거상술이라고 불리는 시술입니다.

    필요한 경우 무조건 하는 것이 좋으며 억지로 안할 경우 차라리 임플란트를 안하느니만 못한 결과를 낳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1.19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치조골(잇몸뼈)이 소실되어 임플란트를 식립 할 공간이 부족하면 골(뼈) 이식을 할 수 있습니다.

    • 상악동 거상술이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악동과 잇몸뼈 사이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뼈가 없을 경우 임플란트 식립을 할수 없습니다.

    상악동 거상술을 통해 상악동과 잇몸뼈 사이에 있는 얇은 막을 들어 올려 빈 공간을 뼈로 채우고 임플란트를 식립 하게 됩니다.

    • 치조골의 높이가 낮아진 부위, 폭경이 얇아진 부위 치조골재생 수술을 할수 있습니다.

    • 임플란트도 자연치아와 같이 치조골(잇몸뼈)이 튼튼해야 치아를 잘 지지해 줄 수 있습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