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력은 태양력이라고도 하며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일 년으로 삼아 만든 달력을 말하는데, 해를 기준으로 1년을 정하고 그렇게 1년은 365일이 되었습니다.
태양을 도는 지구의 공전을 계산하여 만들면 1년의 길이는 정확히 365.2422입니다. 365일을 1년으로 지내면서 0.2422라는 시간의 오차가 작아 보이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그 차이는 굉장해지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4년의 주기마다 하루를 더해 366일이 되는 해를 만들었답니다. 4년에 한 번씩만 볼 수 있는 2월 29일! 그래서 365일의 해를 평년, 366일인 해를 윤년이라고 해요.
음력은 태양을 기준으로 했던 양력과는 달리 달이 지구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한 달로 삼아 만든 달력을 말하고 1년이 354일이 되는데요. 역사적으로 태음력이 가장 일찍 알려졌다고 하는데, 당시 사람들이 달의 모습을 관찰하는 것이 정확하기 때문이었죠. 달의 모습은 매일 다르기 때문에 날짜의 변화를 확인할 때는 태양보다 확실한데요. 농업이나 어업활동이 활발한 우리나라에서는 달의 인력으로 발생하는 밀물, 썰물 현상이 더욱 많은 영향을 끼쳤어요.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권에서는 음력 달력을 이용하는 곳도 많다고 해요. 그렇지만 양력 음력 차이로 정확한 날짜가 나오지 않으니 함께 사용하는 것이죠
앞서 말한 태양력은 농작물 재배와 수확 시기에 맞춰져 있는 삶에 큰 도움이 되지만 태양으로는 한 달을 잴 수 없어요. 이 문제를 해겷한 것은 바로 달인데 주기적으로 변하는 모양으로 보름달의 주기 29.5일을 알아냈어요.
예부터 우리나라는 음력을 사용했지만, 고종이 대한제국을 손포한 한 해인 1896년부터 태양력을 사용하기 시작했답니다.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했어요. 이날을 기념하기 위해 조선시대 최초의 연호를 건양이라 이름 붙였는데 양력을 채택했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