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파도가 가까이 다가 올수록 점점 커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 멀리 약 수백미터에서 밀려오는 파도는 그리 높아보이지 않는데...

해안으로 다가 올수록 점점 커지고 급기야 방파제에 부딛치는 파도는 가공할 파워를 지니는 세력으로 바뀌는데..

이처럼..멀리 있을때의 파도가 가까이 오면서 커지는 원리,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주기의 절반인 수심에 도달한 파도는,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점점 속도가 줄어듭니다. 이때 물 입자의 속도는 점차 낮아지면서 파도의 속도와 같아지는데요. 반면 파도의 높이는 수심이 감소하면서 증가하게 됩니다.

      파도의 높이는 파고라고 합니다. 이 파고를 결정하는 요인은 수심과 파도의 속도인데요. 물 입자의 속도가 빠를수록 파고는 낮고 물 입자의 속도가 느릴수록 파고는 높게 나타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성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깊은 바다 한 가운데의 파도는 크지 않게 보이지만, 육지에 가까워 질수록 지표면이 높아지고 바닷물의 깊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파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해일이 발생하는 것도 동일한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도는 먼 바다에서는 높이가 낮은 상태로 매우 빠르게 다가옵니다.

      그러다가 해저 바닥의 높이가 얕아지면 에너지는 그대로이지만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 속도 감소에 따른것과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파도의 높이가 올라갑니다.

      즉, 속도에너지가 위치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파도의 높이가 높아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도가 가까이 다가올수록 점점 커지는 이유는 파도의 진행 방향이 물의 깊이가 얕아지는 지역에서 파장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파장 길이가 짧아지면 파도는 서로 겹치게 되고, 그 결과 파도의 높이가 점점 더 커집니다.

      물의 깊이가 깊을수록 파도는 더 넓게 퍼져나가며 파장 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물의 깊이가 얕아지는 지역에서는 파장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파도는 서로 겹치게 되며, 이로 인해 파도의 높이가 증가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파도가 깊은 물에서 얕은 물로 이동하면서 파장이 짧아지는 "쉐어링(Shoaling)"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파도가 얕은 물 지역으로 접근하면 파장 길이가 짧아져서 파도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파도는 가까이 다가올수록 점점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도가 가까이 다가올수록 점점 커지는 이유는 파도의 특성에 기인합니다. 파도는 물의 진동으로서, 파도가 진행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물의 입체적인 운동이 발생합니다. 이 입체적인 운동은 파동의 에너지를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파도가 바닥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입체적인 운동이 덜 일어나고, 파동의 에너지는 보존되므로 파도의 높이가 줄어듭니다. 그러나 파도가 바닥으로부터 가까이 다가올수록 입체적인 운동이 더 많이 일어나므로 파동의 에너지는 수직 방향으로 더 효과적으로 전달됩니다. 이러한 효과로 파도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도가 멀리 있을 때는 파장이 길어서 파도의 높이가 작아 보이지만, 해안으로 다가올수록 파장이 짧아지고 파도의 높이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파도가 깊은 바다에서는 물 분자들이 움직임에 따라 파동이 생기면서 전파되어 멀리 있는 지점에서 파도의 높이가 작아 보이지만, 해안으로 다가오면서 수심이 얕아지면서 파동이 바닥에 닿아서 반사되고 굴절되면서 파장이 짧아지고 파도의 높이가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파동의 현상을 파동의 강도 증폭 현상이라고도 합니다. 또한, 파도의 높이는 파도의 크기와 진폭에 따라 결정되므로, 파도의 진폭이 해안으로 다가올수록 커져서 파도의 높이가 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도가 해안에 가까이 올수록 점점 더 커지는 이유는 파도의 성질 중 하나인 깊이가 얕아지면 파도 속도가 감소하고 진폭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파동 이론에서는 "파동 속도의 감소" 현상이라고 합니다.

      바다에서 파도는 일반적으로 깊이가 깊을수록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해안으로 접근할수록 바닥이 얕아져 파도의 속도는 감소합니다. 이 때 파장의 길이는 유지되지만, 파고(파의 높이)는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해안에 가까이 갈수록 파도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또한, 해안에서 파도의 모양이 바뀌면서 파도가 진동하면서 파고가 더 높아지는 현상도 있습니다. 이를 "파울(Refraction)" 현상이라고 하며, 파도가 해안에 도달하면 파도가 도는 각도가 바뀌면서 파도의 방향이 변하게 됩니다. 이 때 파고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안에서 파도는 파동 속도의 감소와 파울 현상 때문에 높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해안 근처에서 파도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