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19.11.02

외왕내제의 사례에는 어떤것이 있나요?

한반도의 역대 왕조들은 중국에 칭신하면서 대내적으로 황제로 격식을 갖추는 외왕내제의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외왕내제의 사례 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외왕내제의 사례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발해의 외왕내제편집 발해는 건국 이후 남북국 시대때 황제국을 지향하였다. 정혜, 정효공주묘지명에는 부왕 문왕을 황상(皇上)으로 표현했다. 황상이란 말은 신하가 황제를 부를 때 사용하는 것이다. 문왕은 발해 역대 임금들이 그러했듯이 즉위 당시부터 대흥, 774년부터 보력, 780년대에 다시 대흥이란 연호를 사용했다.[1] 고려의 외왕내제편집 외왕내제 체제의 성립편집 고려는 후삼국 통일 이후 황제국의 제도를 사용하였다. 광종은 수도였던 개경을 황도(皇都)로 높여 부르고, 서경을 제2의 수도로 승격시켜 서도(西都)라 칭하였다. 고려는 초창기부터 임금이 자신을 부르는 호칭은 짐(朕), 임금의 명령은 조서(詔書), 임금의 호칭은 폐하(陛下), 임금의 아들은 태자(太子)로 정하는 등 황제국의 면모를 갖추었다. 그 뿐만 아니라, 묘호와 연호[2]를 사용하며 고려가 천하의 중심임을 선포했다.[3] 하지만 위협적이던 북방의 요나라 및 중요한 교역상대이던 송나라와의 외교마찰을 줄이기 위해, 외부적으로는 요, 송, 금 등에 국왕을 칭하기도 하였다.(사실 고대 한국에서의 대왕(大王)은 중국의 황제(皇帝)와 동격의 위상을 지녔다고 한다) 그 결과 고려는 송나라의 선진문물과 여진의 강동 6주를 획득하는 등 외교적 실익을 취하였다. 이렇게 성립된 외왕내제 체제는 원나라의 침입으로 간섭기에 접어들 때까지 3백년 가까이 유지되었다. 외왕내제 체제의 붕괴편집 성종은 조서(詔書)를 교서(敎書)로 낮추었지만, 기본적인 황제국 체제는 변함이 없었다. 귀주 대첩 이후 전성기를 맞은 고려의 국제적 위상은 절정에 이르러 대국과의 외교관계를 주도하는 한편, 주변국과 제후국을 아울러 견고한 질서를 확립하였으며 체제 역시 더욱 굳건하게 되었다. 하지만 중기 이후 여진이 세운 금나라와의 관계에서 이자겸의 독단으로 금과의 형제관계를 맺고 이어 군신관계를 맺음으로써 외왕내제 체제는 흔들리게 되었다. 그러나 황제국 체제가 본격적으로 무너진 건 몽골의 대대적인 침략 때문이었다. 고려는 수십년간 초강대국 원나라의 대군에 맞서 싸웠지만, 결국 항복하고 말았다. 원나라는 고려의 태자가 원나라 공주와 결혼하도록 하였으며, 원나라의 부마국에 걸맞게 고려의 체제를 바꾸었다. 원나라의 간섭으로 인해 임금이 스스로를 부르는 호칭은 고(孤), 임금의 호칭은 전하(殿下), 임금의 아들은 세자(世子)로 낮추어 부르게 되었다. 또한, 원나라는 묘호에 조(祖), 종(宗)을 사용하는 것은 황제의 전유물이라 하여 금지시키고, 대신 원나라에 대한 충성심을 보이기 위해 앞에 충(忠)자를 붙이도록 하였다. 이로써 외왕내제 체제는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