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2.23

근원인플레이션율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경제에 관련된 잡지를 읽다고 보면 어려운 경제용어로 이해가 힘들어 질문을 올립니다. 경제용어 중에서 근원인플레이션율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핵심 인플레이션은 날씨, 지정학적 사건, 수요와 공급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자주 변동될 수 있는 식품 및 에너지 가격과 같이 변동성이 있거나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특정 항목을 제외하는 인플레이션 측정값을 말합니다. 이러한 항목을 제외함으로써 핵심 인플레이션은 경제의 기본 인플레이션 추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측정합니다.

    핵심 인플레이션율은 금리 및 기타 통화 정책 도구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중요한 고려 사항인 장기 인플레이션 추세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그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앙 은행에서 통화 정책을 설정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변동중에서 통화정책에 영향을 받는 부분만을 따로 분류해서 만든 지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곡물 이외에 농산물, 휘발유, 등유와 같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제외한 물가상승률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초경제여건에 의하여 결정되는 물가상승률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경우 소비자물가상승률에서 농산물 가격, 국제원자재가격 등의 변동분을 제거하여 계산한다.

    근원인플레이션율은 물가에 미치는 단기적, 불규칙적 충격이 제외되어 기조적인 물가상승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일반국민들의 체감물가와 괴리될 위험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에서 곡물을 제외한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지수를 근원인플레이션 지수로 사용하고 있다. 석유파동 · 이상기후 · 제도변화 등 일반적으로 예상치 못한 일시적 외부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거한 후 산출되는 물가상승률로서 핵심물가지수상승률이라고도 한다.

    학문적으로 정형화된 개념이라기보다는 거시경제정책 수립과 집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