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적정보험료와 기준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성인이든 자녀든 보험을 가입할 때마다 어떤 기준을 참고해서 보험을 들면 좋을까요? 다양한 보험진단 및 비교 앱이나 인터넷사이트가 있지만 신뢰가 잘 가지 않네요. 어떤 항목을 들어야 하며 어느정도 금액이 적당한지 확인이 가능했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본인 재정기준입니다. 소득에 대비해 10%정도만 책정에서,
그 금액 안에서 준비를 해야 하는데, 무리를 하게 될 경우에는 유지가 힘들어져 해지를 하게 되면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유지가능한 금액이 산출되었다면, 실비보험부터 먼저 가입하고,
종합보험 성향으로 후유장해 + 3대진단비 + 수술비 + 운전자상해등 순으로 특약 가입을 하면 되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임지성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의 경제력과 비례하게 가입하여야합니다.
월급의 최소 10%에서 20%정도의 보험료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됫길 바랍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유경재 보험전문가입니다.
정말중요한 것은 본인이 직접 꼼꼼히 읽어보고
필요한 보험을 가입하시는것이 중요합니다.
기타문의사항은 댓글남겨주시면 세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성인이나 자녀나 사람의 몸이기 때문에 보장받아야 하는 담보는 같습니다.
필수특약은 결과적으로는 확률이 높고 발병시 많은 돈이 필요로 하는 내용이 필수라 볼 수 있는데
다양한 보험을 가입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자녀의 경우에는 말입니다.
실비, 암, 뇌, 심장질환 진단, 수술(종수술비, 질병/상해수술비, 특정~대 수술비) 수술비는 다양하게 잡아놓으시는 것이 도움됩니다. 입원비, 각종진단(조혈모, 양성뇌종양, 골절, 화상 등), 일상배상책임보험
등을 가입하시면 되겠습닌다. 금액은 월 수입에 고정비용 및 일반지출을 고려하시고 계산하셔서
보험료 납입이 가능한 금액을 산정하고 그 금액에 보장을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유지력이 있어야 보험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이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1인기준 적정보험료는 쉽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월평균수입의 10% 정도로 보험료를 잡으시는게 베스트예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