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플라스틱을 보면 어떤건 굉장히 투명한데(pet병), 일부 다른 플라스틱은 왜 불투명한건가요?

안녕하세요

플라스틱을 보면 어떤건 굉장히 투명한데(pet병), 일부 다른 플라스틱은 왜

불투명한건가요?

이 차이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투명도 차이는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로, 여러요인에 의해 투명하기도하고 불투명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분자 구조의 차이, 가공과정, 두께, 기타 참가제 사용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투명하다는건 인간의 눈을 기준으로 하므로, 사람이 볼 수 있는 파장 영역대인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있다는걸 의미합니다.

    물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산란되거나, 물체 자체에 흡수되는 경우에는 투명할 수가 없구요.

    말씀해주신 PET 나 PMMA 같은 소재는 분자구조가 규칙적이고, 결정이 없고, 분자가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는게 아닐 수 있어서 투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의 투명도는 플라스틱의 종류, 제조 과정, 그리고 첨가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PET병처럼 투명한 플라스틱은 빛이 통과할 때 산란되는 현상이 적어 깨끗하게 보이는 반면, 불투명한 플라스틱은 빛이 안쪽에서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플라스틱 분자의 배열 상태, 충전제나 첨가제의 유무 그리고 제조 과정에서의 냉각 속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불투명한 플라스틱은 색소나 충전재가 첨가되어 빛의 투과를 방해하거나 분자 배열이 불규칙하여 빛을 산란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플라스틱의 투명도는 빛이 플라스틱 내부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며 플라스틱의 구성 성분과 제조 과정이 이러한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