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을 보면 어떤건 굉장히 투명한데(pet병), 일부 다른 플라스틱은 왜 불투명한건가요?
안녕하세요
플라스틱을 보면 어떤건 굉장히 투명한데(pet병), 일부 다른 플라스틱은 왜
불투명한건가요?
이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투명도 차이는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로, 여러요인에 의해 투명하기도하고 불투명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분자 구조의 차이, 가공과정, 두께, 기타 참가제 사용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투명하다는건 인간의 눈을 기준으로 하므로, 사람이 볼 수 있는 파장 영역대인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있다는걸 의미합니다.
물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산란되거나, 물체 자체에 흡수되는 경우에는 투명할 수가 없구요.
말씀해주신 PET 나 PMMA 같은 소재는 분자구조가 규칙적이고, 결정이 없고, 분자가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는게 아닐 수 있어서 투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의 투명도는 플라스틱의 종류, 제조 과정, 그리고 첨가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PET병처럼 투명한 플라스틱은 빛이 통과할 때 산란되는 현상이 적어 깨끗하게 보이는 반면, 불투명한 플라스틱은 빛이 안쪽에서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플라스틱 분자의 배열 상태, 충전제나 첨가제의 유무 그리고 제조 과정에서의 냉각 속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불투명한 플라스틱은 색소나 충전재가 첨가되어 빛의 투과를 방해하거나 분자 배열이 불규칙하여 빛을 산란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플라스틱의 투명도는 빛이 플라스틱 내부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며 플라스틱의 구성 성분과 제조 과정이 이러한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