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Ditto
Ditto24.02.25

물을 뿌려서 불을 끄는 것도 열의 이동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불을 끄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물을 부어서 불을 끄는 방법이 있는데요. 물을 부어서 불을 끄는 것도 열의 이동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불이 온도가 높고, 물이 온도가 낮으니 열이 불에서 물로 이동하는 과정으로요. 아니면 물로 불을 끄는 건 열의 이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을 뿌려서 불을 끄는 것은 열의 이동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물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불의 온도를 낮추는 과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을 부어서 불을 끄는 것은

    열 이동뿐만 아니라 다른

    메커니즘도 함께 작용하는

    복합적인 과정입니다.

    물을 부으면 물이 불과 접촉하여

    불의 열을 흡수합니다

    이 과정은 열전도라고 불립니다.

    물은 높은 비열 용량을 가지고 있어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물이 불꽃을 덮으면 불꽃 주변의 산소를 차단합니다.

    이는 질식이라고 불리며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하여 불이 꺼집니다.

    물이 불꽃 주변에 닿으면 증발합니다.

    이 과정에서 증발 냉

    각이 일어나 불꽃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고 연소가 멈춥니다.

    물이 불꽃 주변의 연료를 씻어내거나 녹여낼 수 있습니다.

    이는 연료 제거라고 불리며

    연료가 부족하여 불이 꺼집니다.

    물을 부어서 불을 끄는 것은

    열 이동 질식 증발 냉각

    연료 제거 등의 메커니즘이

    함께 작용하는 결과입니다.

    어떤 메커니즘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는 불의 종류 연료 물의 양 등에 따라 다릅니다.

    물을 사용하지 않고 불을

    끄는 방법도 있습니다.

    소화기는 이산화탄소나 건조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불을 끄는 데 사용됩니다.

    물을 사용하여 불을 끄는 것은

    모든 경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기름 화재에 물을 붓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을 끄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을 부어서 불을 끄는 것은 열의 이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불은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고 물은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이 불에서 물로 이동하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열의 이동은 물이 불을 끄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물로 불을 끄는 것은 열의 이동으로 설명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현상입니다. 물이 불을 끄는 과정에서는 열의 이동뿐만 아니라 물의 물리적 특성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은 불을 끄는 과정에서 증발하면서 불의 온도를 낮추고 불의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로 불을 끄는 것은 열의 이동뿐만 아니라 물의 물리적 특성도 함께 작용하는 복합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을 뿌려서 불을 끄는 것도 열의 이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을 뿌리는 과정에서 물은 불의 온도를 낮추고 불의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을 뿌려서 불을 끄는 것은 열의 이동이 일어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을 뿌려서 불을 끄는 것은 물의 물리적 특성도 함께 작용하는 복합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열의 이동으로만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물의 물리적 특성도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열의 이동으로만 설명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물을 사용하여 불을 끄는 것은 복합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열의 이동뿐만 아니라 물의 물리적 특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