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24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가장 처음으로 천문학을 연구했던 사람은 누구인가요?

천문학이라는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에만 사람들이 관심있어하고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과거에도 농사와 계절과 관련해서 굉장히 의미가 있는 학문이었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최초 천문학자가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인수 (T.S. 엘리엇)를 최초로 번역한 인물이라고하며 블랙홀의 질량계산을 쉽게 할수있는 방법을 발견해낸 천체물리학자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문박사라는 직책은 천문관계의 최고실무관리로서, 신라 시대 749년(경덕왕 8) 3월 설치되었고 그 뒤 사천박사(司天博士)로 개칭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미 선덕왕 때에 국립천문대로서 첨성대가 설치된 것으로 미루어, 그 실무조직은 그때부터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기록에 자주 보이는 일관(日官)이 바로 그와 같은 일을 한 존재였을 것입니다. 신라의 천문학자로는 장동이 있는데 첨성대를 건축 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문학은 고대 어느 역사를 살펴보아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하늘을 신으로 생각하여 별과 별자리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들의 움직임으로 길흉화복을 점쳤으니깐요

    우리나라에서도 대대로 천문학은 중요한 분야였습니다. 이게 학문으로 적립되어 연구하기 시작한것이 조선시대였는데 조선초기 천문학의 기초를 닦은 학자는 이순지와 김담 이었습니다. 이 두 분이 조선초기 천문학 자료인 칠정산내편, 철정산외편을 작성하게 됩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천문학자는

    1926년에 조선인 최초의 이학 박사가

    탄생하였는데, 바로 천문학자 이원철(李源喆, 1896∼1963)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