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쾌활한이구아나273
쾌활한이구아나27321.12.01

눈물에선 왜 짠 맛이 나나요?

땀은 불순물과 소금기?가 잇어서 짜자고 해도

눈물에는 짠 성분이 따로 없자고 생각하는데

왜 눈물에서는 짠 맛이 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눈물의 총체적인 해석 눈물은 눈꼬리에 가까운 윗쪽 눈꺼풀의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투 명한 액체로 98.5%가 물이다. 나머지는 나트륨, 칼륨, 알부민, 글로불린 같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정상적으로 흐르는 눈 물은 자동차의 와이퍼처럼 작용하는 눈꺼풀의 깜빡임으로 각막 을 깨끗이 씻어낸다. 또 각막에 영양소와 산소도 공급해준다. 눈물 속의 리소자임이란 효소는 살균 작용을 통해 눈의 감염도 막아준다. 눈물은 짜다. 그것은 눈물 속에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 다. 기쁠 때 흘리는 눈물과 슬플 때 흘리는 눈물은 같을까, 다 를까? 나트륨 때문....98%는 물, 화날 땐 교감신경 흥분 더 짜 기쁠 때 흘리는 눈물과 슬플 때 흘리는 눈물의 성분은 짠 정도 가 같다. 그러나 분노에 찬 눈물은 기쁘거나 슬플 때의 눈물보 다 더 짜다. 그것은 분노에 차면 자율신경의 교감 신경이 흥 분, 수분이 적고 나트륨이 많은 눈물이 나오기 때문이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울 때의 모습은 차이가 난다. 동양인은 울 때 보통 눈물을 흘려 손수건을 눈에 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 해 서양인은 콧물을 흘려 손수건을 코에 대는 것을 종종 보았 을 것이다. 서양인의 경우는 눈과 코가 연결된 관이 동양인보 다 더 굵어 눈물이 코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이다. 하품을 할 때 나는 눈물은 또 뭘까. 이는 하품시 근육이 움직 여 눈물 주머니를 누르기 때문이다. 눈물은 하루에 약 1∼1.2 ㎖ 가량 흐른다. 하지만 수면시와 생후 3개월까지는 눈물을 흘 리지 않는다. 여성은 남성보다 보통 5배 정도나 더 자주 울고, 젊은 사람이 나이 든 사람보다 눈물을 많이 흘린다고 알려져 있 다